지난 10일 노량진역 부근에서 발생한 시내버스 타이어 폭발 원인이 뒷바퀴 재생타이어 때문으로 의심되는 가운데 서울시의 안일한 행정과 업체들의 안전 불감증 때문이라는 비판이 일고 있다.
공석호 시의원(사진·민주·중랑2)이 발표한 최근 3년 서울시 자료에 따르면 서울 시내버스 뒷바퀴 재생타이어 평균 사용률이 97.8%에 이른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타이어 폭발 사고를 낸 ‘ㅅ’교통도 뒷바퀴 재생타이어 사용률이 98.4%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최근 3년 동안 시내버스 주행 도중 타이어 펑크 발생이 703건에 이른 것으로 조사됐다. 2008년 308건, 2009년 317건, 2010년 78건으로 이 같은 원인은 버스 업체들이 서울시로부터 정품 타이어 값을 지원받으면서 실제로는 재생타이어를 쓰고 있다는 것이 문제다.
서울시가 시내버스 준공영제 실시 이후 표준운송원가에 따라 지난해 66개 업체에 타이어비용 8,954만원을 지급했다. 이는 1대당 108만원으로 타이어 개당 27만원을 지원한 셈이다.
그러나 버스업체들은 재생타이어가 압력이 약해 아스팔트 지열로 인해 파열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음에도 재생타이어를 선호하는 것은 정품 타이어보다 개당 10여만원 저렴하기 때문이다. 또 재생타이어가 정품 타이어에 비해 평균 수명이 4∼7개월이 짧지만, 업체들이 육안 점검을 통해 수명을 정하기 때문에 재생타이어 수명 연장은 업체 이윤으로 돌아간다.
서울시도 이 같은 사정을 알면서도 현행법상 뒷바퀴에는 재생타이어를 쓸 수 있게 돼 있어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공 의원은 “서울시는 버스 업체가 재생타이어 쓰는 것을 묵과한 것은 업무태만이며, 업체들은 시민의 안전은 뒤로 한 채 돈 벌이에만 급급해 재생타이어를 사용한 것은 도덕적 해이가 도를 넘어선 것”이라고 말했다.
/ 김용승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