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서울시 지하철 전체범죄의 70%가 성범죄

'안전한지하철 이용 위한 토론회'

관리자 기자  2011.08.12 16:00:02

기사프린트

 

‘안전한 지하철 이용을 위한 토론회’에서 서울시 지하철 전체범죄의 70%가 성범죄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지난 11일 국회의원 회관 소회의실에서 개최된 토론회는 노성훈 경찰대학 교수, 장미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박기열 서울시의원, 이윤상 한국성폭력상담소 소장, 김학경 경찰대학 교수, 하상구 경찰청 생활안전과장 등이 토론자로 참석한 가운데 전병헌 국회의원 사회로 진행됐다.

 전병헌 국회의원이 주최하고 노성훈 경찰대학 교수와 장미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공동 발제로 이루어진 이 날 토론회에서, 서울시의회 교통위원회 박기열 시의원(민주, 동작3)은 토론자로 참석해 ‘1974.8월 1호선 개통이후 연간 23억 명 이상을 수송하는 서울시 지하철의 범죄가 최근 2년간 늘어났으며 특히 지하철 성범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서울시 교통정책과, 서울지방경찰청 지하철 경찰대에서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하철 범죄 중 검거율이 절도 및 폭력은 각각 46.6%. 55.2% 감소한 반면, 성범죄의 경우 2010년 상반기 451건에서 2011년 상반기 550건으로 22.6%나 증가했고 올해 상반기 지하철 범죄는 총 791건 발생에 성범죄가 553건으로 성범죄의 비율이 70%나 됐으며 호선별로는 2호선(57.7%), 1호선(23.1%), 4호선(11.7%)의 순으로 성범죄가 많이 발생했고 장소별로는 전동차내의 범죄 발생률이 69.3%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시간대별로는 오전 8시에서 10시까지의 출근시간대의 범죄가 가장 많았고 다음은 퇴근시간대였다. 또한, 요일별로는 금요일, 수요일, 화요일 등 평일에 범죄가 집중됐다’고 주장했다.
  
박기열 시의원은 ‘서울시 및 지하철 운영기관에서 지하철 성범죄를 줄이기 위해서 그간 여자화장실 비상콜폰 설치, 열차 및 승강장 비상통화장치, 막차 안전요원 운영 등 다양한 노력을 했음에도 성범죄가 오히려 증가하고 있는 것은 실효성이 크지 않고 또 사전에 범죄를 예방하는 정책이 아닌 범죄가 일어난 후 사후조치를 위한 정책을 내놓았기 때문’이라며 ‘앞으로 추진 예정인 지하철 보안관, 세이프존, 여성 전용칸, 전동차내 CCTV 설치 정책을 빨리 시행하고, 가해자 혹은 잠재 가해자의 의식을 전환시키기 위해 상업광고 대신 성범죄 예방 공익광고를 하고 전동차내의 안내방송을 통해 성범죄자가 쉽사리 행동을 하지 못하도록 지하철 성범죄 근절 캠페인을 정책과 함께 펼쳐 나가야 서울시민들의 안전한 지하철 이용은 한걸음 더 현실화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