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일 오후 오세훈 서울 시장이 주민투표 결과 관련 기자회견을 갖고있다.
즉각 사퇴하면 10월 서울시장 보궐선거 9월 이후로 미루면 내년 총선에 함께
서울시 무상급식 주민투표 개표가 무산되면서, 정치권에는 거센 후폭풍이 예고되고 있다.
오세훈 시장이 즉각 사퇴한다면 당장 10월에 보궐선거를 치러야 하는데, 여야는 물론 여당 내에서도 셈법이 엇갈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오 시장이 9월 안에 물러나면 10월 26일에 서울시장 보궐선거가 치러지지만, 오 시장이 사퇴를 9월 이후로 미루면 보궐선거는 내년 4월 11일 총선일로 넘어가기 때문이다.
한나라당으로선 진퇴양난이다.
당장 10월 보궐선거는 불리할 수밖에 없고, 내년 4월로 치르면 시간은 벌겠지만, 함께 치러지는 총선에 악영항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당 최고위원 다수와 수도권 의원들은 총선과 함께 치르기 보다는 10월 보궐선거를 통해 주민투표의 패배를 불식시키고 가자는 입장이지만 홍준표 대표는 오히려 10월 보궐선거에 패배하면 총선에 악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며, 오 시장의 사퇴를 미뤄 내년 4월에 보궐선거를 치르기를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홍 대표는 "사실상 승리한 게임에 즉각 사퇴는 해서는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그것은 서울시장으로서 무책임합니다."라고 밝혔다.
민주당은 이번 주민투표를 통해 일단 정국의 주도권을 잡았다.
이번 10월 보궐선거를 통해 서울시장 자리를 확보함으로써 내년 총선 승리의 교두보를 마련한다는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따라서 오세훈 시장의 즉각적인 사퇴가 이뤄지도록 최대한 압박해나갈 방침이다.
이용섭 민주당 대변인은 "오세훈 시장은 응분의 책임을 확실하게 져야 할 것입니다. 오세훈 시장은 자진사퇴 약속을 즉각 지켜야 할 것입니다."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무상급식 주민투표는 또 앞으로 여야의 복지 정책 논쟁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민주당은 무상급식에 이어 각종 보편적 복지정책에 박차를 가할 가능성이 높지만, 한나라당에서는 재정건정성과 복지 확대 사이에서 내부 논쟁이 더욱 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합동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