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운동가 왈우 강우규의사(1855~1920)의 동상 제막식이 의거 92주년인 2일 오전 10시 구 서울역 광장 강의사의 의거 현장에서 열렸다.
오산고 학생대표의 ‘강우규 의사께 바치는 글’낭독에 이어서 개최된 동상 제막식에는 우무석 국가보훈처 차장을 비롯해 강인섭 강우규기념사업회장, 박유철 광복회장, 국회의원 진영(용산구), 오산고 학생과 시민 등 약 1천 여명이 참석했다.
강우규 의사의 동상은 1919년 9월2일 남대문역(현 서울역) 광장에서 당시 새로 부임하는 사이토 마코토 총독을 향해 두루마기 차림의 강의사가 오른손에 폭탄을 든 채 투척을 준비하는 모습을 형상화 했다. 높이는 몸체와 좌대를 포함하여 4.9m로, 좌대에는 강의사가 순국 직전 서울 서대문형무소에서 남긴 시 “단두대에 올라서니/오히려 봄바람이 감도는 구나 // 몸은 있으나 나라가 없으니/어찌 감회가 없으리오”를 새겼다.
강우규 의사는 1910년대 만주에서 동광학교 등을 설립하여 민족 교육 사업에 전력하다 1919년 노인동맹단에 가입, 같은 해 9월 2일 남대문역(현 서울역)에서 제3대 총독으로 부임하는 사이토 마코토에게 수류탄을 던졌다. 비록 총독 암살에는 실패했지만 정무총감, 일본경찰 등 일제관리 37명을 사상시켰다. 체포된 강의사는 1920년 11월 29일 서대문형무소에서 사형 순국 하셨고, 1962년 3월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됐다.
/ 홍주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