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태 서울시교육의원(사진)은 "지난해 11월 남부교육지원청을 대상으로 한 행정사무감사에서 관내 '교복공동구매 추진위원회연합회'가 교복을 공동구매 하면서 발생했던 ‘교복업체와 담합 악용사례를 강력하게 지적하고, 이후 서울시교육청은 감사를 통해 부정적 실태를 확인하고(행정적인 처분과 함께) 해당관청에 문제점을 개선하도록 권고 조치를 내렸다"고 1월20일 밝혔다.
김 의원은 “민원으로 시작 된 이번 교복 공동구매 사안이, 애초 목적인 '학부모의 교육비 부담 경감' 이라는 좋은 취지와는 달리, 업체와 연합회의 담합이라는 그늘진 면이 있었다"며 교육청의 개선 노력으로 비슷한 사례가 재발되지 않아야 하며, 결과적으로 학부모나 학생이 피해를 입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할 교육청의 지도가 강화되어야 한다"고 강조 했다.
김 의원은 작년 말 "임의 조직인 교복공동구매 연합회가 교복 업체와 담합해, 특정 교복 업체에게 교복을 몰아주고 있다는 내용의 민원을 접수받고, 관련 내용을 민원인을 통해 알아보았고, 민원이 발생한 남부교육지원청 관내 지역 20개 학교 중 17개 학교가‘교복공동구매 연합회’에 가입되어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또 "연합회 회장이 4개 업체를 불러서 담합을 요구했다'는 증언도 들었으며, "한 학교의 경우 연합회에서 제시한 공동구매가인 22만원이 비싸서, 독자적으로 공동구매를 추진해 14만 5천원까지 낮추자 연합회에서 제명 처리했다는 내용도 들었다"고 했다.
김 의원은 "교복공동구매 과정에서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고, 남부교육지원청을 상대로 잘못을 강하게 지적했다"며, "학생과 학부모의 부담을 줄여줘야 할 공동구매를 악용해서, 결과적으로는 특정업체의 이익을 위해서 일하는 주객이 전도 된 상황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민혁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