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안철수 출마선언 직전 야권단일후보 적합도

관리자 기자  2012.09.20 16:03:36

기사프린트

‘문재인 50.3%-안철수 36.6%-잘모름 13.1%’(새누리당 지지응답자 제외)
민주통합 지지응답자 文 56.3% 安 35.1% 잘모름 8.6%
무당층  安 42.0% 文 41.0% 잘모름 17.0%
새누리당 지지응답자는 文 51.3% 安 13.2% 잘모름 35.5%

박근혜-문재인-안철수 3자 대결
朴 44.7%-安 24.9%-文 24.2%

대선출마를 선언한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원장과 민주통합당 문재인 대선후보 중 야권 대선 단일후보로 누가 적합한지 새누리당 지지응답자를 제외한 조사 결과 문재인 후보(50.3%)가 안철수 원장(36.6%)보다 더 적합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또 오는 12월 19일 대선에서 만일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를 포함해 3자가 각각 선거에 출마 한다면 누구를 지지할 것인지를 묻는 질문엔 박근혜 후보(44.7%)에 이어 안철수 후보(24.9%)와 문재인 후보(24.2%)가 비슷한 지지율을 나타냈다.

 

문재인 후보의 당내 경선 후보 확정과 9월 19일 안철수 후보의 대선출마 선언 직전인 18일 (사)전국지역시문협회(중앙회장 김용숙)가 여론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대표 이형수)에 의뢰해 ‘야권단일후보 적합도’ 조사를 실시한 후 새누리당 지지응답자의 답변을 제외한 결과 문재인 후보가 안철수 후보를 13.7% 포인트 앞섰다. 새누리당 지지응답자 답변을 포함하면 23.3% 포인트(문재인 50.7%-안철수 27.4%) 문 후보가 앞섰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새누리당 지지응답자의 51.3%가 문재인 후보, 13.2%가 안철수 후보, 35.5%가 잘 모름 응답을 했다.

민주통합당 지지응답자의 56.3%는 문재인 후보, 35.1%는 안철수 후보, 8.6%는 잘 모름이라고 응답했다.
전체 응답자 중 20.1%를 차지하는 무당층 응답자는 42.0%가 안철수 후보, 41.0%가 문재인 후보, 17.0%가 잘 모름이라고 밝혔다.

‘야권 단일후보 적합도’와 함께 실시한 ‘대선후보 가상 3자 대결’에서는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44.7%)가 1위를 기록한 가운데 안철수 후보(24.9%)가 문재인 후보(24.2%)를 박빙의 차이로 앞섰다. 안철수-문재인 두 후보의 지지율을 합칠 경우 박근혜 후보보다 4.4% 포인트 앞선다.

이같은 조사 결과는 지난 9월 13일 같은 조사와 비교 할 때, 문재인 후보(직전 조사 16.9%)는 7.3% 포인트 오른 것이다. 안철수 후보(29.9%)는 5.0% 포인트, 박근혜 후보(45.0%)는 0.3% 포인트 떨어졌다.

 

조사를 진행한 모노리서치의 이재환 책임연구원은 “문재인 후보의 상승세는 안철수 후보를 견제하는 보수층의 소위 역선택 개연성이 크지만 큰 흐름을 깨는 정도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며 “전반적으로 안철수 후보에 대한 출마피로증과 민주당 경선 컨벤션 효과가 겹치면서 문재인 후보에 대한 호감과 지지층의 결집도가 높아진 상황”이라고 밝혔다.

또 “대선이라는 큰 선거에서 표심은 신중을 기하려는 심리가 크다”며 “그동안 정보가 부족했다고 유권자들이 느껴온 안철수 후보가 출마선언 이후 대중들과 접촉면을 넓히고 긍정적 평가를 받는다면 무당층 및 30~40대의 지지를 다시 끌어올 가능성도 상존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정당지지도는 새누리당 39.2%, 민주통합당 33.0%, 통합진보당 2.3%, 선진통일당 0.8%, 기타정당 4.6%, 무당층 20.1%였다.

이번 조사는 9월 18일 전국 19세 이상 남녀 1,035명을 대상으로 일반전화 RDD(무작위 임의걸기) IVR(ARS) 방식으로 조사했으며 성별, 연령별, 권역별 인구비례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04%p이다. 새누리당 지지응답자를 제외하면 조사 대상은 566명에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11%p이다.

/전지협 공동취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