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지분정리를 추진 중인 정부가, 한국철도공사 등이 보유한 영등포역사 등 민자역사의 지분을 매각하는 방안을 추진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4차례 유찰됐던 민자역사 지분 매각을 자산매각 전문기관인 한국자산관리공사(KAMCO)에 위탁하는 등, 매각에 적극적인 태도를 취할 방침이라는 것.
기획재정부는 29일 김동연 2차관 주재로 제10차 공공기관 운영위원회를 개최하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공공기관 출자지분 매각위탁안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매각위탁안은 한국철도공사와 코레일유통(주) 등이 보유한 롯데역사(주), 부천역사(주)의 지분을 KAMCO에 위탁해 매각하는 방안이다. 이중 롯데역사(주)는 영등포 및 대구 민자역사에서 백화점을 운영하는 민자역사로 철도공사가 전체 지분의 25%(자본금 45억원), 코레일유통(주)가 6.7%(자본금 12억원)를 보유하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이번 민자역사 지분매각이 지난 2009년 1월부터 추진해온 공공기관 선진화계획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공공기관의 핵심업무와 무관한 사업 분야거나, 민간수행이 바람직한 영역의 출자회사 지분을 정리하는 방안으로 시행된다는 것이다.
이미 철도공사에서 지난해 4월부터 4차례나 지분매각을 추진했지만 모두 유찰, 자산매각 전문기관인 KAMCO에 매각업무를 위탁키로 했다.
한편 영등포 및 대구 민자역사에 백화점을 운영하는 롯데역사(주)의 경우 지난해 기준 자산이 1조79억원에 달하며 지난해 매출액은 7137억원, 당기순이익만 756억원 등에 달하는 우량 민자역사로 평가받고 있다.
재정부는 롯데역사(주) 등이 사실상 민간이 운영하는 역사개발사업자로서, 공공기관의 출자회사로 남을 필요가 적다는 점을 들어 지분을 매각키로 했다는 설명이다.
KAMCO는 내년 1월까지 매각주간사 선정 및 주식가치 평가 등 매각 관련 준비작업을 완료, 2월 이후 매각공고를 비롯한 본격적인 매각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한다. / 김남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