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학교 교직원 주차장 시설서도 양극화”

김남균 기자  2012.12.12 11:12:44

기사프린트

서울시의회 김형태 교육의원(영등포·양천·강서)이 교직원 주차장 확보가 안되고 있다며,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김 의원은 12월 12일 보도자료를 내고, 이같이 주장했다. 특히 “사립학교보다 공립학교가 교직원 수에 비례한 주차장 확보를 못하고 있었다”며 “남부·북부·중부·강동·강서·강남교육지원청 등 총 6개 교육지원청 내 공립학교(계)의 주차장 확보율이 100%에 미치지 못했으며, 북부·성동교육지원청은 사립학교(계)의 주차장 확보율이 100%에 미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서울시내 11개 교육지원청 중에서 북부교육지원청만 공립학교와 사립학교 모두 교직원 주차장 확보율이 100%에 미치지 못했다”고 전했다.

그는 “개별 학교로 봤을 때, 조사된 1,321개교 중에서 약 43.8%에 이르는 578개교에서 교직원들에게 충분한 주차공간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었다”며 “게다가 학교별로 편차가 커서, 주차장 확보율이 36%(36명, 13곳) 밖에 안되는 학교도 있는 반면, 600%(10명, 60곳)에 이르는 학교도 있었다”고 밝혔다.

또 “주차장 확보율이 절반에도(50%) 못 미치는 학교는 21개교, 2배 이상이나 되는(200%) 학교는 44개교로 조사되었다”며 “그 밖에도 주차장을 초·중·고·대학교 등과 공동으로 사용하고 있는 학교는 34개교로 조사되었고, 교직원 전용 주차장이 아닌 ‘기타 시설’에 주차공간을 마련한 학교는 총 317개교로 드러났다”고 설명했다.

참고로 ‘기타시설’이란 운동장, 인근아파트, 교회, 인근대학, 학교 앞 도로 등을 말한다.

김 의원은 “학교 운동장을 교직원 주차장으로 사용할 수 밖에 없는 학교의 경우 문제가 매우 심각하다”며 “이는 학생들의 운동장 사용에 지장을 줄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의 위험까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운동장 등에 주차공간을 확보한 학교에서는 펜스 설치 등 학생안전에 신경을 써야 할 것이며, 이후 전용 주차장을 확충하는 등 합리적으로 학교공간을 구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계속해서 “기타 시설에 주차공간을 마련한 학교 중 125개는 사립학교로, 교직원 복지에 소홀히 하는 한 단면”이라며 “일부 학교의 경우 교직원 차량이 학교 안에 들어가지 못하고 있으며, 주차선도 그어져 있지 않고, 심지어 바닥 포장도 되어 있지 않다”고 했다.

그는 “학교 교직원 주차장 시설의 양극화도 심하니, 교육청은 교직원 복지차원에서 주차장이 확보되지 않은 학교의 경우 주차장이 확보되도록 힘써야 할 것”이라며 “주차장이 확보된 학교의 경우에도, 주차선 표시, 바닥 포장 등을 하여 교직원들이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주차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역설했다. /김남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