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등포구의 최대 현안이라고 할 수 있는 ‘준공업지역’ 문제를 다룬 토론회가 열렸다.
김영주 국회의원(민주당 영등포갑)의 주최로 6월 24일 영등포아트홀 2층 전시실에서 열린『영등포 준공업지역 문제해결은? - 현실을 반영한 용도지역 설정이 해답이다』토론회에는 많은 구민들이 방청석을 가득 메운 채 토론과정을 주의 깊게 지켜보았다.
토론회에 앞서 인사말에 나선 김영주 의원은 “일제 강점기인 1920년대 일본이 이곳 영등포 지역을 병참기지로 만들면서 공업지역으로 지정되었다”며 “해방 이후부터 지금까지 서울 서남권 지역에 공장지역이 밀집되어 있는 것도 그러한 이유”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후 여러 차례 도시개발을 거치면서 서울은 세계적인 도시로 성장했지만 영등포는 그렇지 않았다”며 “영등포의 33%가 준공업지역으로 되어 있어 공장이 이전한 자리에 APT가 들어서면서 주거지역으로 형성되고 있지만 공장과 학교, 전통시장 등이 혼재되어 있는 등 혼잡스런 지역으로 전락하고 말았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사정이 이렇다보니 그동안 우리지역 정치인이라면 누구나 할 것 없이 준공업지역 해제를 공약으로 내걸었다”며 “하지만 그 누구도 이 문제를 해결하지는 못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런 가운데 영등포의 생활환경은 점점 더 열악해졌다”며 “조그마한 공장이 이전하면 그 자리에 원룸이나 오피스텔이 들어오는 바람에 골목까지 주차난으로 허덕이는 복잡한 도시가 되고 만 것”이라고 개탄했다.
그는 “이제는 어떤 방법으로든 준공업지역을 완화시킬 수 있는 실현가능한 대안을 찾아야 한다”며 “주거지역, 학교지역, 상업지역, 공원지역 등 용도지구 정비를 통해서 쾌적한 주거환경을 만들어가야 한다”고 역설했다.
특히 “박원순 시장이 6월 11일 구민회관에서 가진 주민들과의 간담회에서 준공업지역 문제 해결을 위해 서울시 산하 연구기관인 서울연구원에 용역을 의뢰하겠다고 약속했다”고 전했다.
한편 이우종 교수(대한국토도시계획위원회 학회장)의 사회와 장철순 국토연구원 연구위원의 발제로 진행된 이날 토론회에는 윤준용 구의원, 김성보 서울시 도시정비과장, 김의승 경제정책과장, 정희윤 서울연구원 도시공간연구실 연구위원, 이창호 국회입법조사처 국토해양팀 조사관 등이 토론자로 나섰다.
윤준용 의원은 “준공업지역이 지역에 미쳐 온 폐단”을 열거한 후, “서울시가 최근 5년 동안 영등포구의 준공업지역을 해제한 것은 강서구 마곡지구를 준공업지역으로 지정하면서 영등포공원 일대를 준공업지역에서 해제한 것이 전부”라며 “지역발전이나 주민의 재산권 행사와 전혀 관계가 없는 영등포공원을 준공업지역에서 해제한 것은 비율 맞추기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닐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왜 영등포구만 지역발전의 걸림돌인 준공업지역을 74년 동안 안고 살아야 하느냐? 영등포구민은 서울시민이 아니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남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