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개혁이 정가의 화두로 떠오른 가운데, 국민 과반수는 국정원이 지난 대선 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국정원의 국내 파트는 존재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가 지난 7월 11일 전국의 성인남녀들을 대상으로 ‘지난 대선 시기 국정원의 활동이 선거 결과에 얼마나 영향을 미쳤을지’를 물을 결과, 54.4%가 ‘영향을 미쳤을 것’(매우 큰 영향을 미쳤을 것 27.7%. 대체로 영향을 미쳤을 것 26.7%)이라고 답했다.
이어 39.2%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을 것’(대체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을 것 26.4%.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을 것 12.8%)이라고 답했다. ‘잘 모름’은 6.4%였다.
‘영향을 미쳤을 것’이란 응답은 20대(67.0%)와 40대(60.6%), 호남권(65.3%)과 경남권(57.7%), 학생(70.0%)과 생산/판매/서비스직(63.0%)에서 많았다. 반면 ‘영향을 미치지 않았을 것’이란 응답은 60대 이상(51.0%)과 50대(46.3%), 경북권(53.6%)과 경기권(40.1%), 전업주부(44.9%)와 기타/무직(42.9%)에서 응답률이 높았다.
이런 가운데 새누리당 지지자들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을 것’(69.1%)〉‘영향을 미쳤을 것’(24.5%)〉‘잘 모름’(6.4%) 순으로, 민주당 지지들은 ‘영향을 미쳤을 것’(85.3%〉‘영향을 미치지 않았을 것’(9.8%)〉‘잘 모름’(4.9%) 순으로 답했다.
국정원 개혁 방향에 대해서는 가장 많은 33.8%가 ‘해체 수준의 전면 개혁’을 꼽았다. 이어 26.8%는 ‘국정원 내부의 자체 노력 개혁’, 18.7%는 ‘국회 등 외부가 참여하는 개혁’을 지목했다. ‘잘 모름’은 20.7%.
하지만 국정원의 국내파트 존폐와 관련해서는 51.3%가 ‘존재해야 한다’고 답했다. 이어35.3%가 ‘폐지해야 한다’, 13.4%는 ‘잘 모름’이라고 답했다.
모노리서치의 이재환 선임연구원은 “과반수 국민들이 국정원이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응답하고, 국정원에 대한 강력한 개혁 조치가 이뤄져야 할 것이란 의견이 많은 등 국정원의 활동과 위상에 대해 부정적 견해가 높았다”며 “하지만 국정원의 기능에 대해서는 인정하는 결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번 조사는 이날 저녁 19세 이상 남녀 1,073명을 대상으로 일반전화 RDD(무작위 임의걸기) IVR(ARS) 방식으로 조사했으며 성별, 연령별, 권역별 인구비례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99%p이다. /나재희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