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가의 화두 중 하나인 ‘4대강 사업’에 대해 우리 국민 과반수가 부정적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는 8월 27일 전국의 성인남녀들을 대상으로 지난 이명박 정부의 핵심 국책사업인 4대강 사업에 대해 평가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59.1%가 ‘부정적’이라고 답했고, 23.2%는 ‘보통’, 13.0%는 ‘긍정적’, 4.7%는 ‘잘 모름’이라고 응답했다.
4대강 사업에 가장 부정적인 지역은 호남지역으로, 81.8%가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이밖에 연령별로는 30대(78.8%)에서, 직업별로는 사무/관리직(67.3%)에서 가장 부정적이었다.
반면 긍정 평가는 경북지역(20.8%), 50대 및 60대 이상(각각 16.2%), 학생 층(25.8%)에서 가장 많이 나왔다.
여당인 새누리당 지지자들은 ‘보통’이란 답변이 35.5%로 가장 많았으나, ‘부정적’이란 응답도 32.9%나 되었다. ‘긍정적’이란 평가는 25.3%.
민주당 지지자들은 ‘부정적’이란 답변이 81.2%로 압도적으로 많은 가운데, ‘보통 12.2%’ > ‘긍정적 6.0%’ 순으로 답했다.
이런 가운데 녹조 현상 등 4대강 사업의 문제점이 확실히 드러날 경우, 78.5%가 ‘관계자에 대해 철저히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특히 새누리당 지지자들도 67.8%가 이같이 답했다.
조사를 진행한 모노리서치 김지완 선임연구원은 “녹조 현상과 지하수 고갈 문제 등 4대강과 관련한 문제제기가 이어지며 지난 정부의 국책 사업에 대한 평가가 다양한 각도로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여론은 4대강 사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책임질 일이 있으면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의견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한편 조사는 이날 저녁 19세 이상 남녀 1,070명을 대상으로 일반전화 RDD(무작위 임의걸기) IVR(ARS) 방식으로 이뤄졌으며, 성별·연령별·권역별 인구비례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99%p이다. /나재희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