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구, 겨울철 주민 불편 최소화 총력

관리자 기자  2009.11.17 03:51:00

기사프린트


교통·저소득 주민 보호 등 7개 분야 종합대책 추진

 

구는 겨울철에 예상되는 폭설, 화재 등 재난 및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주민생활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겨울철 종합대책을 마련했다.
이에 따라 구는 15일부터 내년 3월 15일까지 4개월을 월동대책 추진기간으로 정하고 ▲제설대책 ▲교통대책 ▲화재 및 안전사고 예방 ▲연료 안정공급 및 에너지 절약 대책 ▲저소득 주민 보호 ▲구민보건·위생관리 ▲주민생활 불편해소 등 총 7개 분야에 대한 분야별 대책을 수립해 월동기 주민생활 보호에 총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발빠른 제설대응체계 확립=먼저 구는 폭설에 대비한 제설대책 본부를 운영해 강설 사전 예측을 위한 정보망을 구축하는 한편 제설작업의 민간위탁 용역을 실시해 구 제설대책본부의 지시에 따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제설작업을 시행토록 한다.
이와 함께 ‘내 집 앞 내 점포 앞 눈치우기’ 생활화를 전개해 주민들의 눈치우기 참여를 유도하는 한편 강설시 고가차도 및 고갯길 등 취약지점 집중제설, 대중교통 이용 등 시민행동요령 지키기를 홍보할 예정이다. 이밖에 도로 제설체계도 강화한다. 구는 보조간선도로 23개 노선 24km에 대한 제설범위를 확대하기로 했다. 염화칼슘 사용을 억제하는 대신 소금을 활용하는 등 친환경적인 제설자재를 사용할 예정이다.
이어 대중교통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강설시 버스, 마을버스, 지하철의 심야 운행시간 연장, 개인택시 부제 해제를 실시하는 한편 정류소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미끄럼방지용 모래와 염화칼슘을 살포한다. 또한 자동차 안전운행을 위한 자동차 월동 정비 및 장비확보에 대한 홍보와 주차장 제설대책, 교통상황 정보수집체계 확립 등 자동차 안전운행 체제도 마련했다. 
특히 저소득 주민의 따뜻한 겨울을 위한 따뜻한 겨울보내기 사업을 비롯해 시설수급자 및 기초생활수급자의 기본생계보호와 월동대책비 등 각종 지원대책도 마련했다. 월동기 자활근로 사업을 활성화해 저소득 가구의 소득을 지원하는 한편 야간 순찰반을 편성해 영등포역과 시장주변의 실직 노숙자 등 부랑인들에 대한 선도 보호활동을 펼쳐 혹한기 동상·동사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계획이다.
또한 겨울철 화재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한국가스안전공사·공급업체 등 유관기관과 연계해 가스시설을 합동점검하고, 해빙기 대비 공동주택 안전점검, 건축공사장, 재난위험시설물, 조경·녹지·체육시설,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수시 점검과 함께 장애인복지관, 자활센터 등 사회복지시설에 대해서는 별도로 점검반을 편성해 관리를 강화할 예정이다.
또한 24시간 행정기능이 유지될 수 있도록 비상시 긴급 동원태세도 확립한다.
아울러 연료 안정공급 및 에너지 절약 대책을 마련해 연탄, 가스, 유류 등 에너지별 기관과 유기적인 협조체제를 구축하여 유사시에 에너지가 적정 수준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판매업체에 대한 행정지도를 강화한다. 또한 초고유가 시대를 맞이하여 공공기관의 에너지 절약 추진 및 공동주택, 위생업소, 사회복지시설 등 민간시설의 에너지 절약을 유도하고, 주민 홍보활동을 강화한다. 
구는 겨울철 신종 플루 확산에도 대비한다. 보건소 방역 기동반을 가동해 신종 플루 등 전염병 특별 방역을 위해 학교를 비롯한 전염병 발생시설, 화장실 등 취약시설에 살균·살충 등 소독을 실시한다. 보건소 인플루엔자 감시반의 24시간 비상연락 체계를 강화하는 한편 신종 플루 상담센터 운영 및 비상방역 근무, 거점병원 및 약국 운영, 유치원 및 학교 87개소에 살균소독제, 적외선 체온계, 손소독제 등 배포, 신종인플루엔자 예방홍보 교육 영상물 배부, 신종인플루엔자 예방접종 실시 등 다양한 방법으로 예방에 총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이밖에 주민생활 불편 해소를 위해 급수·정수시설 등 주요시설물에 대한 점검 및 정비를 실시하고, 동결·동파 긴급복구, 비상급수 등 긴급 민원사항을 처리한다. 이어 물가안정을 위해 개인서비스요금 49개 품목을 관리대상 품목으로 지정해 판매가격 표시제를 지속적으로 운영하는 한편 김장철 농수산물 수급안정을 위한 직거래장터도 운영한다.            / 김오연 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