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부터 1716만명(전 국민의 35%)에 대한 신종인플루엔자 백신 접종이 시작된다.
중앙인플루엔자 대책본부 산하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1일 "지역사회 신종플루 유행을 억제하고 감염으로 인한 중증 합병증과 사망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국가예방접종 사업을 내년 2월까지 시행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당초 신종플루 접종대상(1336만 명)보다 400만명 늘어난 것이다. 임상시험 결과 18세 이상 성인의 경우 1회 접종으로 충분한 것으로 확인됐기 때문이다.
접종순서는 감염 위험성이 높은 일선 의료종사자와 방역요원, 초중고 학생, 생후 6개월~만6세 및 임신부가 올 연말까지 우선 접종한다. 노인과 만성질환자, 군인, 기타 대응요원 등은 내년 1월 이후 순차적으로 접종이 이뤄진다.
백신접종 대상별 인원은 ▲의료 종사자와 전염병대응 요원 80만 명 ▲영유아·임산부·노인·만성질환자 등 취약계층 820만 명 ▲초중고 학생 750만 명 ▲군인 66만 명이다. 향후 유행 추이 등에 따라 일부 계층이 추가될 수 있다.
건강한 노인과 위탁의료기관 접종대상자 가운데 의료급여수급자 등은 보건소에서 접종이 가능하고 학생은 학교 예방접종팀의 무료 학교 방문 접종으로, 영유아·임신부·만성질환자 등은 병·의원 등 위탁의료기관에서 접종이 시행된다.
위탁의료기관에서는 백신 값은 받지 않지만 1만5000원 수준(의원급 기준)의 접종비용을 본인이 부담해야 한다.
보건소 접종 대상자는 사전예약을 기반으로 순차적으로 접종하며 학교와 보건소 접종 대상자도 본인 의사에 따라 의료기관 접종이 가능하다. 다만 이 경우 접종비용은 본인이 부담해야 하며 접종시기는 늦어질 수 있다.
일반인은 정부 구매분 이외 백신의 허가가 나오는 대로 시장에 유통될 예정인데 허가기간을 고려할 때 내년 1월부터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종구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신종플루 예방접종 대상에 포함된 사람이라 하더라도 최종 접종여부는 본인의 자발적인 선택에 따라 시행된다"고 설명했다.
한편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이날 녹십자가 국내 최초로 자체 개발한 신종플루 예방백신 '그린플루-에스'를 최종 허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