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25개 구청이 운영하는 문화예술공간의 가동률이 낮아 그대로 방치되는 등 운영비 대비 수익률도 낮아 물먹는 하마가 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양창호 서울시의원(사진·한나라당, 영등포구3선거구)은 서울시 25개 자치구의 문화예술공간의 운영 실태를 점검한 결과 최근 3년간 25개 자치구의 문화예술회관, 구민회관 등 문화공간 가동률이 59.4%에 불과하고, 최근 3년간 운영비용에 대한 수익률은 47.5%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서울시 25개 구청이 문화예술공간 건립 및 리모델링을 위해 서울시에서 지원받은 예산은 1,541억여원, 하지만 이들 시설의 최근 3년간 운영비로 911억여원이 투입되는 등 최근 3년간의 운영수익은 433억원으로 최근 3년간 투자대비 수익률은 17.7%에 불과했다. 또한 투입 운영비 대비 수익률도 47.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립 문화시설에 대해서는 수익률을 중시할 수 없다는 점을 인정한다 하더라도 지역 간의 수익률의 차이가 심하고, 가동률과 수익률이 동시에 떨어지는 문화시설도 있어 자치구의 안이한 관리실태가 또 다른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종로구민회관의 경우 가동률이 96%로 최근 3년간 운영비 대비 수익률이 105.6%임에 비해 같은 구청 내 광화문아트홀의 경우 가동률이 65%, 운영비 대비 수익률은 17.2%에 불과해 운영상의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어 영등포구아트홀(구 구민회관)의 경우 가동률이 62%, 운영비 대비 수익률은 17.9%에 불과했고, 동작구민회관의 경우 가동률이 47%, 운영비 대비 수익률은 2.1%, 구로구 아트밸리예술극장의 경우 가동률 65%, 운영대비 수익률은 15.2%에 불과했다.
양 의원은 “서울시로부터 막대한 예산을 지원받은 문화예술시설의 가동률이 낮고, 수익률이 20%이하인 시설에 대해 종합적인 점검을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 오인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