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왕릉을 찾아서

관리자 기자  2009.09.16 02:52:00

기사프린트

추천여행! 9월의 가볼만한 곳

조선왕릉 유네스코 문화유산 등재기념!

왕릉을 찾아서

 

솔숲 울창한 왕릉을 거닐며 숨겨진 보물찾기,
서오릉·서삼릉(경기도 고양시)

 

조선 왕릉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됐다. 동구릉을 비롯한 수도권에 위치한 왕릉이 새삼 주목을 받고 있다. 이중에서도 교통체증을 피해 아이들과 호젓이 하루를 쉬고 싶다면 바로 고양시의 서삼릉과 서오릉 당일 나들이 코스가 좋다. 서오릉은 경기도 구리시에 있는 동구릉 다음으로 큰 조선 왕실의 무덤이 모여 있는 곳이다.
서오릉은 평지에 소나무 숲이 우거져 있어 산책하기가 좋고 능 중간에 벤치와 휴식공간이 만들어져 있어 소풍을 오는 여행객들이 많다.
서오릉과 인접해 있는 서삼릉은 가는 길이 한적하고 호젓하다. 희릉, 효릉, 예릉의 삼릉이 있다고 해서 서삼릉이라 불린다. 서삼릉 주변 농협대학과 원당종마목장은 서삼릉보다 더 유명한 인기 여행지다.
원당종마목장에서 초록빛 향연을 벌이는 넓은 초지 위에 한가로이 뛰노는 말들의 모습은 더없이 여유롭다. 목가적인 풍경에서 유유자적 나들이를 즐기기에 좋다. 서오릉과 서삼릉은 서울에서 가깝고 배다리술박물관과 아름식물원, 중남미문화원 등 주변에 소풍처럼 다녀올 수 있는 여행지가 가득하다.
문의 : 서오릉 관리사무소 (02)359-0090
                
조선왕조 500년을 이어온 왕릉전시장,
동구릉(경기도 구리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40기 중에서 가장 많은 9기가 몰려 있는 동구릉은 중국사신이 ‘하늘이 만든 땅덩어리’라고 칭송할 정도로 명당 중에 명당이다. 조선왕조 500년 능제의 시원이자 기준이 되는 태조 이성계의 ‘건원릉’은 조각이 섬세하고 위엄이 넘친다.
영조 능인 원릉은 왕의 치세답게 규모가 크며, 선조 능인 목릉은 전쟁을 겪어서인지 투박한 석조물을 보여주고 있다. 단릉, 합장릉, 쌍릉 이외에도 산줄기를 달리해 두 분을 모신 동원이강릉, 세 분을 나란히 모신 삼연릉 등 다양한 형태의 능을 볼 수 있어 동구릉이야말로 ‘조선왕조 500년의 왕릉전시장’이라 불러도 손색이 없다.
드라마 ‘태왕사신기’의 배경이 되었던 고구려 대장간마을과 아차산유적지에서는 고구려의 웅혼함을 배울 수 있으며, 구리한강시민공원에서는 화려한 코스모스의 군무를 감상할 수 있다.
문의 : 동구릉 관리사무소 (031)563-2909

숲길 너머 만나는 조선왕조 마지막 황제의 능,
홍릉·유릉(경기도 남양주시)

홍릉과 유릉은 조선왕조의 마지막 왕이었던 26대 고종(1852~1919)과 27대 순종(1874~1926)이 모셔진 능이다. 홍릉에는 명성황후(1851~1895) 민 씨와 고종이 합장돼 있으며, 유릉은 순종과 순명효황후 민씨, 순정효황후 윤씨의 합장릉이다. 두 능을 합쳐 흔히 홍유릉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특히 홍릉과 유릉은 조선의 국명을 대한제국으로 바꾸면서 왕이 아닌 황제라는 칭호로 불린 고종과 순종의 능으로, 역대 왕릉과는 달리 중국 황제의 능제를 따라 조성된 독특한 능이다.
이밖에도 ‘다산정약용유적지’는 정약용 선생의 정취를 한껏 느낄 수 있는 곳이며, 운길산 남쪽 기슭에 자리한 수종사는 탁월한 전망이 일품이다. 남양주종합촬영소는 즐겁고 재미있는 영화체험 공간이다.
문의 : 문화재청 홍유릉 관리소 (031)591-70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