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거리 흡연 금지 등 강력한 금연정책 지지
서울시의회 교육문화위원회 남재경 의원(한나라당, 종로1)이 발표한 공공장소 흡연금지 정책에 대한 시민 ARS 여론조사 결과 서울시민 80% 이상은 버스정류장과 같은 공공장소와 길거리 등 많은 시민들이 이용하는 장소에서의 강력한 금연정책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시민 10명 중 9명은 버스정류장과 같은 '공공장소에서의 금연'에 적극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10명 중 8명은 특정 공공장소뿐만 아니라 길거리 흡연까지 금지하는 등 더욱 강력한 금연정책이 필요하다는 것에 공감했다.
이미 2007년 실시됐던 '실외금연 및 담배꽁초 무단투기에 대한 시민의견 조사'에서 어린이 보호구역 및 버스정류장과 같은 공공장소에서의 금연에 대해 응답자의 약 90%가 찬성했고, 보행 중 흡연금지와 같은 강력한 금연정책 실시에 대한 질문에는 78.3%가 즉시 실시해야 한다고 대답한 바 있다.
이후 공청회와 다양한 의견수렴을 거쳐 지난해 의회를 통과한 '서울시 금연환경조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안' 이후 서울시의 금연도시 만들기는 법적 근거를 바탕으로 더욱 적극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당시 해당 조례를 발의한 남재경 의원은 조례발의 1년이 지난 시점에서 공공장소에서의 흡연에 대한 시민 여론조사를 다시 실시해 금연정책이 대다수 시민들에게 지지를 얻고 있음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밖에 공공장소에서의 금연정책 위반에 대한 적정 과태료를 묻는 질문에는 58.16%(1,539명)의 응답자가 5만원이라고 응답했고, 17.95%(472명)은 10만 원 이상이 적당하다고 응답했다. 이어 9.05%(238명)가 금연정책 위반시 50만 원 이상의 과태료를 부과해야 한다고 답했다.
이밖에 초·중·고등학생들의 건강을 위해 흡연교사들에게 불이익을 주는 것에 대한 질문에는 60.82%(1,599명)의 응답자가 찬성했고, 26.17%(688명)의 응답자는 반대, 13.01%(342명)의 응답자는 잘 모르겠다고 답했다.
여론조사는 지난 8월 5일부터 10일까지 5만명의 총 대상자 중 5.26%인 2,629명이 조사에 응했으며, 응답자는 비흠연자 1,893명(72%), 흡연자 369(14.04%), 흡연자이나 현재 금연 중인 자 367명(13.96%)의 비율로 구성됐다.
공공의 건강과 행복을 위해 '공공장소에서의 금연'은 반드시 보장돼야
담배 연기 속에는 40여 가지의 발암물질과 4천여 가지의 각종 화학물질이 들어 있어 그 폐해가 심각하다. 특히 발암물질은 간접흡연시 3~8배 정도 더 많이 포함돼 있다는 연구결과도 나와있다.
이번 여론조사를 주도한 남 시의원은 "담배를 피우는 부모를 가진 어린이와 그렇지 않은 어린이를 비교한 연구에서 아버지가 담배를 피우는 집의 어린이는 그렇지 않은 어린이에 비해 급성 호흡기질환 감염률이 5.7배나 높으며, 폐암 발생률도 2배(부모 양쪽 다 담배를 피우는 경우는 2.6배), 그 이외에 천식, 기침, 중이염 등의 발현률은 6배나 높으며, 폐기능은 전반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인다는 결과가 나타났다는 점에서 어린이들은 생활환경에서 발생하는 유독물질에 대한 방어능력이 성인에 비해 취약하기 때문에 어린이들의 간접흡연을 적극 예방하기 위한 차원에서도 어린이 보호구역이나 버스정류장 같은 공공장소에서의 금연정책은 지속적으로 더욱 강도 높게 추진돼야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