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폰 교내사용’ 조치 취해야
서울시의회 교육문화위원회 양창호 의원(한나라당, 영등포구3)이 지난 7월 13일부터 7일간 서울시의회 여론조사기구에 의뢰해 서울시민 2,883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서울시민 63.44%인 1,829명이 ‘교내휴대폰 사용이 학습 환경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한다’고 응답했다.
서울시민 대다수가 휴대폰이 학생들의 학습 환경에 나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초등학생의 경우 교내 휴대폰 사용에 대해 휴대·금지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초등학생의 교내휴대폰 휴대에 대해 48.56%인 1,394명이 ‘휴대를 반대한다’고 응답했고, 33.96%인 979명은 ‘교내휴대는 찬성하되 교내사용은 반대한다’고 답했다.
이와 함께 중·고등학생의 교내휴대폰 사용에 대해서는 46.44%인 1,339명이 교내사용을 반대했고, 35.59%인 1,026명은 ‘수업시간에 사용을 금지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이어 휴대폰의 교내휴대 및 사용에 대해 어떤 방식으로 통제하는 것이 좋을 것인가에 대해서는55.50%인 1,600명이 ‘학교 자율로 규제해야 한다’고 답했고, 32.19%인 928명은 ‘법률이나 조례로 정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이번조사의 표본오차는 95%신뢰수준에 ±0.2%다.
양창호 시의원은 “휴대폰이 학생들의 학습 환경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에 대해서는 많은 서울시민이 찬성하고, 초등학생의 경우 휴대금지 또는 학교 내 사용금지에 대해 82.31%인 절대다수가 찬성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여론조사결과”라고 밝혔다. 양 의원은 “다만, 어떤 방식으로 통제하고 조치를 만들 것인지에 대해서는 다수가 자율규제를 원하는 만큼 서울시교육청이 적절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학교가 학생들을 자율적으로 지도하게 하는 방안을 준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양 의원 이와 함께 “초등학생들에게는 휴대금지, 사용자제 등의 조치를 취하되, 학부모들이 걱정하는 아이들의 안전을 위해 CCTV확충, 어린이 캐어 시스템 등 학교주변 안전망 구축사업을 서울시교육청이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오인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