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부처 및 공공기관 사이트의 해킹 등으로 인한 자료유출 사고가 지난 2006년 이후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나라당 권영세 의원(사진·영등포 을)이 지난 9일 배포한 보도자료에 따르면 국회입법조사처가 분석한 ‘국가 및 공공기관 사이트 보안 시스템 강화방안’ 자료를 분석한 결과, “사이버 침해로 정부부처 및 공공기관의 자료가 훼손 및 유출된 사고는 지난 2006년 123건에서 2007년 176건, 지난해 7월 현재 473건으로 크게 늘어났다”고 밝혔다.
권 의원은 또 “2005년 이후 공공기관에 대한 해킹 사고 발생건수는 모두 2만4388건으로, 2005년 4549건, 2006년 4286건, 2007년 7588건, 2008년 7965건”이라고 지적했다.
권 의원은 “국회도 지난 1년 동안 총 1만491건의 사이버 공격을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면서 “국회는 24시간 관제시스템을 도입해 대부분 백신으로 처리하고, 기존 백신으로 처리되지 않는 신종·변종 사이버 침해에 대해서는 전문가가 직접 개인 컴퓨터를 점검하고 포맷하는 특단의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공개했다.
이와 함께 “국가기관에 대한 해킹시도가 늘어남에도 불구하고 이를 예방할 보안시스템 도입은 평균 55.4%에 그치고 있다”면서 “이 중 데이터 보안이 40.9%, 개인 컴퓨터 보안이 43.6%로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권영세 의원은 “한국 정부는 전자정부를 추구하고 있지만, 이를 위해선 사이버 보안이 필수”라며 “국가 및 공공기관의 사이버 보안체계 구축을 의무화하고 공무원의 사이버 교육을 정례화하는 법안을 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김기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