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약자 위한 도시환경 개선사업 통해 514건 개선
구가 지난 2006년 10월 지자체 최초로 주거복지연대와 민·관 협약을 체결하고 ‘사회적 약자를 위한 도시환경 개선사업’을 3년 동안 추진해 온 결과 공공기관, 복지시설, 보도, 공원 등에 장애물을 없애는 등 총 514건을 개선해 보행하기 편한 환경을 만들었다.
구와 협약을 체결한 주거복지연대에서는 지난 2006년 8월부터 2007년 1월 말까지 공공기관, 문화시설, 종합병원 사회복지시설, 공원시설, 경로당, 초등학교 등 지역의 다중이용시설 205개소에 대한 실태조사를 펼쳐 개선대상 물량 1,228건을 찾아냈다.
구는 주거복지연대의 조사를 통해 나타난 개선대상을 부서별 기관별로 분류해 개선사업을 추진해왔다. 그 결과 구 청사 및 동 주민센터 등 공공기관의 진입로를 개선해 경사를 낮추고, 출입구 턱을 없앴으며, 공원에 장애인전용 화장실과 시각장애인을 위한 공원 안내시설을 설치하는 한편, 육교 및 지하도에 승강시설 설치, 파손된 보도 개선, 음향신호기 설치, 점자블럭 설치 등 장애인이나 노인들, 임산부들이 이용하기에 불편을 느끼는 시설물과 환경을 개선해 지난달 12월까지 514건을 손봤다.
이와 함께 구는 모니터요원을 선발해 구가 완료한 편의시설에 대해 정기적인 모니터 활동을 펼칠 수 있도록 하고, ‘영등포구 Barrier Free’ 지도를 제작해 저상버스 노선, 지하철역 리프트 현황, 장애인 화장실 안내 등 사회적 약자들을 위한 시설을 한 눈에 알아보고 이용하기 쉽도록 만들어 배포했다. 또 지역 초등학교와 연계해 유니버설 디자인의 개념을 설명하고, 체험교육을 실시해 학생들이 사회적 약자를 바라보는 시각을 개선할 수 있도록 했다.
구는 주거복지연대와의 협약이 만료됨에 따라 지난 23일 영등포구청 입구에 사업의 의미를 되새기기 위한 기념비를 세웠으며, 그동안의 사업 추진성과와 추진과정의 어려움, 개선해야할 점, 향후 추진방안 등을 담은 사업추진 백서를 발간할 계획이다.
또한 구는 앞으로 개선이 완료되지 못한 시설을 중심으로 중장기적인 개선사업을 펼쳐나가는 한편, 당산로 공공디자인 시범거리 및 여의도 국제금융 디자인 거리에 사회적약자를 위한 거리를 조성하고, 민간의 자율정비를 유도해 외부 공공기관 및 백화점, 대형마트 등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시설 개선을 적극 추진해나갈 계획이다.
구 관계자는 “사회적 약자를 위한 도시환경 개선사업은 중·장기적인 도시환경 개선사업을 통해 사회구성원 모두가 편안하게 생활할 수 있는 도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것으로 시민 참여에 의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사업을 실시함으로써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는 아름답고 건강한 도시를 만들어 나가기 위해 노력을 기울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 김기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