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등포역 주변으로 이동하는 노숙인
근래 들어 영등포역 주변에 노숙인이 눈에 띄게 늘었다. 이는 지난 25일부터 서울시가 ‘거리급식을 중단한다’라는 내용의 전단지를 서울역 주변에 머물고 있는 노숙인들에게 나눠주면서 부터이다. 조만간 거리급식이 중단될 위기에 처한 서울역 주변의 노숙인들이 아직 거리급식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영등포로 찾아들고 있는 것이다. 현재 영등포역에는 5~6 단체가 무료 급식을 제공해주고 있는 상태이다. 한 단체의 관계자는 “하루 500여명의 식사를 준비해 가는데 항상 모자란다”고 밝혔다.
서울시에서는 노숙인들이 무료 급식으로 인해 역 주변으로 몰리고 있고, 이를 끊으면 노숙인 전용 쉼터로 돌아갈 것이라는 의견이다. 이에 효과적이면 차차 영등포와 동대문 등의 지역 거리급식도 점차 중단시키겠다는 계획이다.
이런 서울시의 현 정책에 반기는 곳도 있지만, 영등포에 거주하는 구민들의 의견은 어떨까 싶다. 노숙인이 급작스레 늘어나면서 그들 간의 이권다툼이 심해지고, 영등포의 중심에서 지역경제를 이끌고 있는 백화점 등 상권들이 매출이 급감하면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서울역의 갑작스런 거리급식 중단으로 노숙인들의 쉼터 정착이 이어진다면 다행이겠지만, 미지수가 된다면 지금의 이와 같은 사태는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영등포구는 현장에 공무원을 파견해 효율성이 떨어지는 형식적인 순찰만 펼칠 것이 아니라, 역 주변이 주택가와 인접한 특수성을 감안해 구걸과 폭력, 악취 등 구민들 삶의 질이 크게 악화되는 상황을 막기 위해 서울시와 함께 근본적인 노숙인 문제 해결에 앞장서야 할 것이다.
노숙인들은 근로능력이 현저히 떨어지고, 알콜중독과 정신질환 등의 문제가 발견되기에 이에 대한 재활특별기구가 속히 설치운영 돼, 적극적인 현장개입과 상담이 필요할 것이다. 이와 함께 그들의 실정에 맞게 쉼터 서비스가 개선돼야 한다.
- 김관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