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기고 -‘이달의 우수공무원 선정자’ - 가슴이 찡한 추억을 만들며 산다

관리자 기자  2007.04.09 04:15:00

기사프린트

장 대 환 (영등포보건소 보건기획팀장)

청사 앞뜰에는 목련꽃망울이 머잖아 꽃망울을 터뜨려 질듯이 하얀 꽃잎은 조금씩 내밀고 있는데, 그 앞을 오가며 바라보는 눈길을 통해 아름다운 느낌들을 가슴에 담아보고 싶어진다.
누군가가 “인생은 예술이다”라는 말을 했듯이 우리가 태어나는 순간부터 “행복한 인생 가꾸기”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제 나름대로 작품을 만들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시인이나 소설가는 글로써 작품을 만들지만, 우리처럼 평범한 사람은 마음으로, 행동으로,  느낌으로, 각자가 살아가는 하루, 하루를 자신의 작품을 만드는 공간으로 여기고, 살아가고 있다고 생각해 보면서, 이왕이면 좋은 작품을 남기고 싶고 그렇지 못하더라도 살아가는 순간, 순간이 작은 보람으로 꼭, 꼭 채우고 싶은 소망으로 살아간다.
이제까지 30년이 넘는 오랜 공직생활해오면서 어렵고 힘든 일도 많았지만, 그래도 가장 값지게 기억하고 싶은 것은 가슴을 찡하게 울리는 진솔한 삶의 소리가 아닌가 싶다.
그중에서 몇년 전 영등포 구청 1층 민원실에 근무할 때의 기억이 새롭다. 민원실 한 가운데 설치된 상담석은 교대로 근무도 하지만, 일상업무를 보다가도 호적민원 창구 앞을 유심히 바라보곤 하는데 이 창구를 찾아오시는 분들 중에는 가정파탄 등으로 이혼신고를 하려 오거나 상담하러 오는 분들이 많고,  슬픔에 겨운 모습으로 사망신고를 하려 오시는 분들이 많기 때문이다. 
처리절차를 안내해드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 보다도 자신만이 안고 있는 애환을 가슴에만 담고 있는 경우가 의외로 많아서, 자신의 처지가 가엽게 여겨져 스스로 북받쳐 오르는 감정으로 눈물을 흘리면서 애환을 듣고 있노라면, 애써 참았던 눈시울이 뜨거워져 염치도 없게 흘러내려 눈에 티를 닦아내는 흉내처럼 몰래 닦아낸 경험도 많았다.
“아저씨! 감사합니다. 이제 제 가슴에 담고 있는 말 못할 사연들도 얘기를 하고, 그런 사정을 이해해주시고 격려해시는 것에 많은 위안을 받았습니다. 이제, 서럽고, 아쉬운 힘든 느낌들을 훌훌 털어버리고 저도 열심히 살아가겠습니다.”라는 목소리를 남긴 가정파탄으로 이혼상담을 하려오신 예순 살 가량의 아주머니 생각이 난다.
생존과 관련된 이해관계가 복잡한 업무를 처리하다 보면, 욕설이나 협박 등 마음을 상하게 하는 일도 많이 겪고 있지만, 우리 주위에는 물질적이고 경제적인 도움보다도 따스한 마음이 담긴 격려와 위로를 더 필요로 하는 분들도 너무도 많이 있다는 것을 숱하게 경험을 한다.
어려운 우리 이웃들의 마음을 헤아려주고, 그들이 겪고 있는 애환을 진실된 마음으로 마주할 때, 우리사회가 더욱 밝은 모습이 되고, 그런 모습을 우리 삶속에 조금씩, 조금씩 쌓여갈 때 참으로 나의 인생이 아름답게 그려지고, 행복해지지 않을까 하는 소박한 생각을 해본다. 
새로운 시각으로 보면 문제점이 풀린다. 지난 1년 전에 있었던 일이다. 근무하고 있던 부서가 옮겨짐에 따라 우선 새로운 부서의 개략적인 업무현황을 파악하는 과정에서 어려운 민원업무 사항이 있다는 것을 전해 들었다.
그중에서 담배소매인 지정제도가 관련 법령에 의해서 처리되고 있는데, 담배소매인 지정과 관련하여 해마다 소송민원 사항이 증가하고 있었고, 다른 자치단체에서 발생하고 있는지를 전국적으로 파악해보니 공통적으로 발생하고 있었으며, 소송건수도 해마다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관계법령이 정하는 기준에 의거 엄격히 처리하고 있는데도, ‘왜? 그런 민원이 우리구 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공통적으로 발생하고 있을까’하는 의문과 함께 당사간의 분쟁뿐 만 아니라 행정기관을 상대로 소송으로 인해, 막대한 재정적인 부담과 더불어 행정기관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고 있음은 꼭 풀어가야 할 과제라는 생각이 들었다.
다른 한편으론, 오랫동안 풀리지 않은 물음으로 존재하고 있었음은 쉽게 풀리지 않은 문제임엔 틀림이 없는 것 같았다.
그러나 그 물음에 대한 해답은 꼭 구해야 할 과제이며, 그 해답을 꼭 구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우리 팀에 부여하고, 이해관계요인 분석과 법령검토, 우리구 및 타 자치단체 유사 자치법규현황 검토, 법률전문가 자문 등을 거쳐, 결론을 내릴 수 있었는데 우리구 규칙제정으로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란 확실한 믿음을 갖게 되었지만, 우리가 미쳐 생각하지 못한 부분이 있어 문제점이 재발되지 않을까 하는 염려도 들었다.
이런 과정을 거쳐 제도개선차원에서 법령에 근거하여 전국 최초로 우리구 규칙을 제정하고, 이제까지 발생한 문제점이 새로운 제도제정으로 예년과 같이 진정이나 소송 등의 민원사항이 발생하는지를 지켜보았는데, 6개월이 지난 다음 제도개선 중간분석을 해 본 결과, 관련 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