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기자수첩 - 김정완 기자

관리자 기자  2006.04.26 03:32:00

기사프린트

정치 나리님들, 공천 후 광풍은 어쩌려고 그러십니까?

최근의 공천비리는 지역구 출신 국회의원과 당원협의회장(구 지구당 위원장)들이 지방선거 후보 공천에 절대적 영향력을 갖고 있는 데서 비롯됐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현재 접수된 공천 관련 제보만도 400여건에 이르고 있다. 영등포 지역 역시 그러한 공천비리를 비껴가지는 못할 것 같다.
지난 4월 14일자 국민·중앙일보는 각각 ‘서울의 B의원’과 ‘수도권의 한 의원’이라 칭하며 자신의 비서·보좌관 등을 모두 구·시의원으로 공천했다는 제보가 있었고, 사실관계 역시 맞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보도한 바 있다.
물론 그 의원이 누구인가가 중요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 보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공천비리를 애당초 발생할 수 없게 만들어야 하지 않을까? 이를 뿌리 뽑기 위해서는 이들의 공천 영향력을 배제·약화시켜야 한다는 여론이 지배적이다.
시장·군수·구청장과 지방의원 후보를 결정하는 것은 시·도당 공천심사위원회다. 그런데 공천심사위의 절반 이상이 그 지역 국회의원이다. 또 다른 심사위원도 의원의 영향을 받는 시·도당 간부나 당원협의회장이 상당수라는 것이 문제다. 외부인사 비율은 한나라당 20%, 열린우리당 30% 정도지만 그나마도 비율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거나 허수아비인 경우가 허다하다.
영등포구의 경우 아직 후보 확정이 완전하게 끝난 것은 아니지만 현재까지의 5·31지방선거에 출마할 각 당 후보들의 면면을 살펴보면 “자기 사람을 심으려고 내리꽂기식 선정을 한다”는 공천 탈락자들의 말이 괜한 말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신한국당 사무총장을 지낸 강삼재 전 의원이 지난달 31일 자신의 홈페이지에 띄웠던 글이 화재가 돼 최근 세간에 오르내리고 있다. ‘공천광풍 어이할꼬?’란 제목의 글에서 강 전 의원은 “한반도가 지방선거 공천 몸살을 앓고 있다”면서 “공천에 대해 아무 힘도 없는 나를 통해서라도 공천희망자들이 로비를 하려 한다”고 말했다. 그는 “광풍이 지나간 자리에는 엄청난 상흔이 남는다”며 “탈락자들의 원성과 뒤이은 집단탈당 등으로 초토화될 게 뻔한데 어느 누구도 공천 후를 걱정 않는다”고 했다. 또 “공천권을 가진 사람들 중 누구는 지금 권력의 묘미를 만끽할지도 모른다. 지금처럼 상전 대접을 받아본 적이 없기 때문”이라며 “하지만 낙천자는 일순간 적으로 돌변해 어제의 상전에게 창 끝을 겨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고 했다.
여야를 막론하고 이번 공천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영등포 지역 갑·을 국회의원, 당원협의회장들은 강 전 의원의 “광풍이 지나간 자리에는 엄청난 상흔이 남는다”는 이 말을 결코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 김정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