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공천제도 불합리 지적
김춘수 서울시의원(사진)은 지난 10일 영등포구선관위에 예비후보 등록을 마치고 서울시의원 제3선거구(신길1·4·5·7동, 여의도동)에 무소속으로 출마한다고 공식 선언했다.
이에 김 의원은 “공천탈락의 분노와 아픔을 뒤로하고 이제 오직 영등포의 일꾼으로 정성을 다하는 김춘수가 되겠다”며 “중앙정치에 예속된 위기의 지방자치를 구민의 힘으로 지켜나가자”고 말했다.
또 김 의원은 “사실 구청장 출마를 준비해 왔다. 그런데 한나라당의 구청장후보 공천을 받지 못했다. 모두 제 부덕의 소치”라 생각한다며 “다만 이제 서서히 안착되고 있는 지방자치 제4기의 출발을 앞에 두고 투명하고 공정하지 못한 공천제도로 인해 풀뿌리 민주주의의 근본이 흔들리는 지금의 상황에 대해” 지적했다.
지방자치의 본령은 주민들의 삶을 향상시키는 주민 스스로의 생활자치이지만 지방선거가 풀뿌리 선거라는 정체성을 갖기보다는 정치논리에 의한 중앙정치의 부속품처럼 취급되고 있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아울러 주민들과 동고동락하며 성실히 구의 발전을 위해 헌신해 온 지역 일꾼이 아닌 지역 국회의원의 입맛에 맞춰 공천권이 행사된다면 출마자들은 주민보다는 국회의원과 대선주자의 눈치를 보게 되고, 자신의 경륜과 공약보다는 중앙정치 게임에 몰두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번 선거에서 공천제도에 대한 문제점들이 속속 들어나고 있는 것 같다. 김 의원의 서울시의원 무소속 출마선언이 역시 그 한 사례라 하겠다.
이번 5ㆍ31지방선거는 김 의원을 비롯한 공천 탈락자들이 대거 무소속으로 출마할 것으로 예상돼 이번 선거는 여느 선거와는 다른 변수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 김정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