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종교에 나타난 효사상
불교는 자비로 이치를 밝히고 있으며 불교의 효의 상은 법망경에 나오는 지극한 효심이야 말로 대자대비정신 어머니, 아버지가 베푸신 은혜가 태산같다 하여 은혜 십계명이 있다.
우주 창조의 하나님의 섭리, 진리, 박애로 이룰 수 있다는 예수님 (천주교,기독교,장로교)의 효사상, 신구약 십계명에 네 부모를 공경하라며 효를 하라고 하셨다.
유교의 효는 공자 이전부터 전통사회에 지대한 영향이 가정사회 철학의 근원, 백행, 원천, 행동이 효로부터 시작되었다고 한다.
유교에도 부모를 효로 모시는 육계명이 있다. 이외 종교 대종교와 천도교, 원불교, 고유종교 천부교도 있다. 이도 역시 위와 같이 효·예·충을 매우 중요시 했으며 효를 지키지못하는 자는 미물과 다를 바 없다고 했다.
단군 한배검께서 백성을 효를 우선 깨우쳐 주신 것이며, 삼국시대 효는 증조 문헌 비고에 보아도 역시 부모의 은혜가 제일크다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