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세 의원, 국회 대정부 질의에서 주장
최근 철도공사의 러시아 유전투자의혹이 정치권의 주요 이슈로 다뤄지고 있는 가운데 철도공사 유전개발 실태조사단장을 맡고 있는 권영세 국회의원(한나라, 영등포을)이 이와 관련 특검제 도입을 주장하면서 추병관 건설교통부장관을 상대로 지난 13일 대정부 질의를 벌여 관심을 모았다.
권영세 의원 이날 대정부 질의에서 먼저 “철도청이 투자하려 했던 사할린 유전사업과 관련 한국과 러시아 양국이 인수계약협정체결을 추진했던 것으로 철도공사 내부문건에서 드러났다”고 주장하면서 “정부에서 추진된 것이 아니냐”는 이번 사건에의 정부개입에 대한 추가의혹을 제기했다.
권영세 의원은 또 유전개발과 관련된 지난해 8월 12일 회의 자료를 토대로 “왕영용 개발본부장이 지난해 철도청 회의석상에서 ‘국가 외교안보위원회 주관 하에 러시아 유전개발사업을 추진 중’이라고 밝히고, 열린우리당 이광재 의원도 철도청에 이를 제안했다”며 양측의 연루 의혹에 대해 추궁했다.
그러면서 권 의원은 “이번 사건은 여권 실세가 개입된 전형적인 권력형 비리와 비슷한 면모를 보이고 있는 만큼, 이번 사건을 오일게이트로 규정하고 이를 밝혀내기 위한 모든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한 뒤 “신뢰할 수 없는 감사원 감사 결과와 검찰 조사과정에 문제점이 있다”고 지적하면서 “이 사안에 대해 국정조사와 함께 특별 검사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했다.
그리고 “결국 이번 오일게이트는 국가적 사업에 몇몇 사람들이 관여하면서 국민의 재산을 방만하게 운영하게 된 것으로 막대한 혈세를 낭비한 결과를 가져왔다”고 지적하면서 “이러한 ‘권력형 비리’는 반드시 밝혀내어 왜곡된 국가정책운영을 바로잡아야 하며, 더 이상 국가운영에 몇몇 개인이 개입하여 국가재산에 손실을 입히는 일은 결코 없어야 한다”는 소신을 밝혔다.
한편, ‘철도청의 러시아 유전개발 의혹사건’은 지난해 8월 석유공사를 비롯한 유전개발 전문업체들이 사업성이 없다는 이유로 거절한 사업임에도 불구하고 유전개발 사업과 아무런 관련이 없는 철도청에서 러시아 사할린 6광구 지역을 개발하기로 계약함으로써 60여억원의 계약금을 날리게 된 사건으로, 철도청의 회의록 등에 여권실세 의원의 이름이 등장하는 등 여권의 실세가 개입한 흔적이 곳곳에서 발견되기 시작하면서 국민적 의혹으로 증폭된 사건이다.
현재 이 사건은 감사원의 결과 발표에 이어 검찰의 조사를 앞두고 있는 상황이며 한나라당을 비롯한 야4당은 ‘특검제’를 요청해 놓고있다. / 김성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