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KTX 영등포역 정차해야

관리자 기자  2005.02.04 05:45:00

기사프린트

영등포구의회, 성명서 발표

.영등포구의회(의장 조길형·사진)가 ‘KTX 영등포역 정차 요구’에 대해 광명시 등 일부 지자체에서 강력히 반발하고 있는 것과 관련, 이에 대한 입장을 밝히고 정차를 촉구하는 성명서를 지난 20일 발표했다.
구의회는 이 성명서에서 “영등포구의 KTX 영등포역 정차 요구는 고속철 도입의 취지를 무시한 지역이권경쟁이 아닌 이용시민의 편의와 철도경영의 합리화를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구의회는 또  “KTX가 영등포역에 정차하지 않는다고 해도 광명역은 정상화되지 않으며, 광명역이 제 기능을 발휘하는 데는 약 7년 안팎의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면서 “이러한 상황에서의 광명시 등의 반대는 시민 편의와 철도공사의 합법적 경영개선 시도를 가로막는 억지”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구의회는 “지역이권 때문에 시민에게 교통불편을 주고, 천문학적인 적자를 국민의 혈세로 부담하게 하는 실책을 범하지 말아야 한다”면서 KTX 영등포역 정차를 강력히 촉구했다.
한편, 조길형 구의회 의장은 이번 성명발표와 관련, “KTX 영등포역 정차 요구가 국민들에게 지역이권경쟁으로 비춰질 수 있는 오해의 소지를 없애고 정차의 당위성을 알리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 김성용 기자

 

최근 영등포구의회에서 추진하고 있는 ‘KTX 영등포역 정차 요구’에 대해 광명시 등 일부 지자체에서 강력히 반발하고 있는 것으로 각 언론에 보도되고 있다. 이와 관련 우리 구의회에서는 ‘KTX 영등포역 정차요구’가 당초 고속철 도입의 취지를 무시한 지역이권 경쟁이 아닌 시민의 고속철 이용편의와 철도경영의 합리화를 위한 대안의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음을 다시 한번 밝힌다
영등포역은 서울의 동작, 관악, 양천, 강서, 구로구 등을 포함한 강남지역과 인천광역시 및 부천시 등 수도권 1,000만 여명의 역세권에 위치하며 1일 27만 여명이 이용하는 서울 서남권의 중심 역이다
이 지역 시민들은 고속철도 이용으로 생활의 편익이 매우 클 것으로 기대하였으나 정작, 금년 4월 KTX가 개통되면서부터 일반 열차의 운행 횟수가 감소되고 KTX 이용을 위해 서울역, 용산역, 광명역까지 가야하는 불편이 가중되어 점차 철도 이용을 외면하는 시민의 증가로 이어지게 되었다.
그 결과 고속철의 승차율은 당초 계획과는 달리 경부선 약 75%, 호남선 약 45%로 매우 저조하며, 한해의 적자도 1조5000억원의 수준에 이를 정도라 하니 심히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이에, 우리 구의회에서는 광명역이 광역전철망과 연계수송체계를 갖추고 각종 편익시설을 완비해 명실공히 고속철도의 시발역으로서 제 기능을 발휘 할 수 있을 때까지 만이라도 영등포역을 고속철의 정차역으로 정해 고속철의 천문학적 운영적자를 개선하고 동시에 시민의 고속철 이용에 편의를 제공해야한다는 대안적 차원에서 ‘KTX 영등포역 정차 요구’를 추진하게 된 것이다.
KTX 영등포역 정차의 당위성에 대해서는 고속철도 문제를 연구하는 시민단체, ‘고속철시민모임 (대표 배준호 한신대 교수)’에서도 “KTX의 영등포역 정차는 간부직 축소, 아웃소싱에 의한 인건비 절감, 요금 현실화, 역사의 유휴부동산 활용 및 잠재 철도이용객 유인 등으로 철도공사의 유력한 수익증대 카드로 기대된다”면서 “KTX가 영등포역에 정차하지 않는다고 해도 광명역은 정상화되지 않으며, 광명역이 제 기능을 발휘하는 데는 약 7년 안팎의 시간이 필요하므로 현 상황에서의 영등포역 정차 반대는 한국철도공사의 합법적 경영개선 시도를 가로막는 억지로 인식될 수 있다”고 언론을 통해 지적한 바 있다. 이와 같이 현재의 가장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대안이 영등포역 정차뿐이라는 것은 우리 의회뿐만 아니라 철도를 연구하는 시민단체의 주장이기도 하다
지역 이권 때문에 쓸데없이 7년 이상 시민에게 교통불편을 주고, 천문학적 적자를 국민의 혈세로 부담하게 하는 실책을 범하지 않도록 ‘KTX 영등포역 정차’를 강력히 촉구하는 바이다

2005.  1. 
영등포구의회 의원 일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