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택 서울시 교육감, 취임 기자회견에서 강조
공정택 신임 서울시교육감이 “초·중·고교의 기초학력 신장을 위해 학력평가의 방법 및 시기, 적용범위 등을 학교 자율에 맡길 방침”이라고 밝혔다.
공교육감은 지난달 27일 서울시교육청에서 취임 기자회견을 열고 “관에서 시험(학력평가)을 보라 마라고 하는 것은 안 된다”며 “학교장이 학교운영위원회 등의 의견을 들어 평가 방법·시기·적용범위 등을 정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공 교육감은 “각 급 학교는 교육인적자원부의 학업·성적관리 시행지침과 초·중·고교 생활기록부 전산처리 및 관리지침을 준수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서울의 학력수준은 전국적으로 볼 때 ‘중상’ 정도”라면서 “초등학교 4~6학년에서 기초학력이 다듬어지도록 학교가 애쓰는 모습을 보여주기를 바라며, 이것이 중학교와 고교까지 이어지기를 바란다.”고 말했으며, 이어, “학력신장을 위해서는 교사 평가도 매우 중요하다”고 지적하면서 “교육부가 교사평가 시안을 내년 초쯤에는 내놓을 것으로 보이지만 내놓지 않을 경우에는 서울시가 나서서 교원단체 등과 의견을 나눈 뒤 시범 운영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특히 “재정적으로 어려운 지역에 먼저 예산을 투입해 교육환경을 개선해 나가겠다.”면서 ‘강북 등에 대한 교육환경개선사업을 중점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는 뜻을 밝혔으며, 자립형사립고의 운영 계획과 관련해서는 “교육부의 시범운영 결과를 본 뒤 그때 가서 서울시의 특수성 등을 감안해 서울시장과 충분한 협의를 거친 뒤, 시범학교를 결정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 최경숙 주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