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제8회 사회복지포럼

고령사회 지자체의 노인복지 대응방안

관리자 기자  2010.12.01 13:50:36

기사프린트


노인인구 500만 시대, 우리나라는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어 지자체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
이 가운데 25일 문래청소년수련관에서 ‘고령사회가 요구하는 지방자치단체의 노인복지 대응방안’을 주제로 제8회 사회복지포럼이 개최됐다.
영등포구사회복지협의회(회장 정진원)가 주관한 이날 포럼에는 조길형 구청장을 비롯해 변영철 영등포구시설공단 이사장, 유춘선 대한노인회 영등포구지회장 등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200여명이 참석해 노인복지의 높은 관심을 보였다.
정진원 회장은 인사말에서 “사회복지는 우리 경제와 더불어 크게 성장했지만 아직까지 수요자들이 체감하기에는 부족한 것이 사실이라며, 복지향상을 위해 지자체와 사회복지단체 등이 힘을 모아 다양한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주제발표에 나선 홍석자 사회복지대학원대학교 교수는 “고령사회의 노인문제는 생산가능인구 감소로 인한 국민경쟁력 약화를 초래한다”며 “이를 위해 지역특성에 따른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 사회복지담당공무원 수의 증가 및 역량강화, 자원봉사자 및 시민사회단체의 참여 유도, 지역사회복지협의체·협의회 네트워크 활성화 등으로 지자체의 노인복지에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김용선 영등포구청 복지국장은 노인복지 정책비전과 추진방향에 대해 “저소득 노인의 소득보장을 위해 취업 및 고용안정 지원, 노인취업알선 네트워크 구축은 물론 수요자 맞춤형 노인복지서비스 제공을 위해 요보호노인 지원체계 강화, 저소득재가노인 밑반찬 배달사업, 노인장기요양 관련기관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바로세움 확대, 노인 우울증 예방사업 등을 실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병수 영등포노인종합복지관장은 노인빈곤과 노후보장에 대해 “현 노후보장체계가 부실하기 때문에 사가지대가 많고 연금수급액 등 보장비도 적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노인 모두에게 노후보장 혜택을 주되 최저소득을 보장해야 한다”며 “기초노령연금과 같은 기초연금 대폭 인상, 국민연금에 최저연금제 도입, 퇴직연금제 강제화, 주택연금제 1억 이하 주택 차별적 혜택 등을 실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밖에 대한노인회 영등포구지회 허지혜 과장은 경로당 활성화 방안으로 시설개선, 재정지원 현실화, 역량강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지역사회교류 등을 제시했다
/ 오인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