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등록금 외 대학재정을 확충하기 위한 방법이 다변화 되는 한편 산학협력이 더욱 활성화 돼 지역대학과 지역기업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이 확대될 전망이다.
김황식 국무총리는 28일 '제2차 교육개혁협의회'를 통해 교육과학기술부가 발표한 지역대학과 지역산업의 동반성장 방안과 대학재원 다변화 방안을 논의 확정한데 이어 지난 한 해 동안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팀에서 수행한 성장동력으로서의 창조형 인적자본 육성방안의 연구결과를 보고 받았다.
김 총리는 "새로운 지식 창조와 지식간 융합이 지속성장의 관건이 되는 지식기반 사회에서 대학의 경쟁력이 국가지식 경쟁력의 핵심인 만큼 대학이 가시적인 연구성과를 거두려면 무엇보다 안정적인 대학재원이 확보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부가 규제완화 등 제도 개선과 정책 지원을 통해 등록금 이외에 다양한 재원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만큼, 대학들도 이를 최대한 활용해 자구 노력을 강화해 줄 것"을 당부했다.
김 총리는 이와 함께 "지역 균형발전을 위해 지역대학의 경쟁력을 높이는 일이 시급하다"며 "산학협력을 통해 우량 중견기업과 지역 유수대학이 선순환 발전구조를 이룬다면 수도권 대학·수도권 대기업으로의 학생 집중 현상이 완화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또한 "지역대학의 활성화는 지역의 경제·문화발전 등 지역 생존과 직결되는 만큼 해당 지자체가 분명한 의지를 갖고 지역대학 살리는 일에 적극 나설 것"을 주문했다.
/ 오인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