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신길역 ‘노숙인 쉼터 건립’ 주민 반발로 무산

청소년상담센터·노인요양시설로 전환키로

관리자 기자  2011.04.19 15:02:53

기사프린트


서울시가 노숙인 보호·자활을 지원할 목적으로 추진하려던 영등포지역 노숙인 쉼터 건립이 주민들의 거센 반발로 결국 무산됐다.
신개념 자활센터를 명분으로 신길역 부근에 들어서려 했던 노숙인 쉼터는 총 면적 435.8㎡의 지하1층, 지상5층 규모로 ▲노숙인 대상 잠자리 ▲무료급식 ▲의료서비스 ▲일자리 제공 등을 통해 노숙인의 실질적인 자활·자립을 지원할 예정이었다.
또한 위탁 운영 단체인 여의도순복음교회는 시설 내 한방 및 양방 의료서비스 시스템을 갖추고 교회 내 자원봉사자들을 이용해 쉼터 이용 노숙인에 대한 맞춤형 복지 제공은 물론 자체보유한 직업전문학교를 이용해 노숙인에 대한 직업훈련을 시켜 자체 취업알선까지 제공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면서 집단 민원이 발생하는 등 주민들의 거센 반발이 이어졌고, 결국 주민들은 노숙인 쉼터 설치반대 추진위원회를 구성 지난 8일 여의도순복음교회를 방문해 “그동안 구청의 다각적인 노력으로 영등포의 노숙인 수가 점차 감소하는 추세지만 이번 신규 보호시설이 설치된다면 또다시 타 지역의 노숙인들까지 유입하는 촉매제 역할은 물론 여성과 아이들의 안전이 위협받을 수 있다”며 거세게 항의했다.
또 이에 앞서 7일 최웅식·김정태·김춘수·유광상 시의원 4명이 서울시 이정관 복지건강본부장을 만나 “지역주민의 치안·주거·교육환경 개선을 위해 관내 노숙인 쉼터 건립을 즉각 중단할 것”을 요구했다.
결국 서울시와 교회는 내부적 회의를 통해 노숙인 쉼터 건립을 철회키로 하고 대신 청소년상담센터 및 노인요양시설로 전환하기 위한 실무협의를 진행 중에 있다.
반면 영등포구청은 이러한 노숙인 쉼터 건립 사실을 서울시가 아닌 관내 복지시설 관계자를 통해 확인해 불쾌하다는 입장이다. 결국 서울시가 주민들의 집단 민원 발생을 우려해 주민설명회 등의 절차 없이 비공개로 건립을 추진해 온 것으로 풀이된다.
현재 관내에는 노숙인 쉼터 5곳(410명), 상담보호센터 2곳(190명)이 운영되고 있다. 이는 서울시 전체 노숙인 2000여명 중 36%에 해당하는 수치로 서울시 25개구 중 가장 많은 노숙인이 분포돼 있는 만큼 주민들은 앞으로도 제2.3의 노숙인 보호시설 건립을 원천 차단하겠다는 입장이다.
/ 오인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