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권영세 위원(사진·한나라당·영등포을)은 지난 20일 열린 기획재정위 4월 현안질의를 통해 “정부가 매월 소비자물가를 발표하고 있지만 정작 소득계층별 물가지수는 발표하지 않고 있어 서민들의 체감물가를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권 의원은 기획재정부 현안보고서를 통해 “현재 정부가 작성하고 있는 소비자물가는 최종 소비단계의 개별 상품 가격에 가계소비 지출에서 차지하는 중요도(지출비중)를 곱해 가중 평균한 종합적인 가격수준이지만 문제는 이러한 지출비중이 계층별 소비특성을 반영하지 않은 전체 평균값에 불과해 소득계층별로 소비지출의 비중과 구조를 정확히 반영하지 못한다”고 밝혔다.
특히 소득계층별 지출비중을 나타내는 통계청의 도시가계조사 자료에 따르면 2010년 소득 최상위 10% 계층은 교통비(15.4%), 교육(14.6%), 외식·숙박(11.6%), 기타잡비(11.6%), 식료품(10.2%) 인데 반해, 최하위 10% 계층은 식료품이 21.2%로 최상위 계층의 2배, 집세·수도·난방(16.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송태정 우리금융지주 수석연구원은 “이러한 방식으로 소득계층별 물가지수를 연구한 결과 지난해 9~12월 중 하위 10% 저소득층의 물가는 4.1% 상승했으나, 상위 10% 고소득층의 물가는 3.2% 상승에 그쳐 무려 0.9%포인트의 차이를 보였다”고 말했다.
권 의원은 이어 “일본의 경우 이미 소득계층을 5단계로 나눈 5분위 소득계층별 물가지수를 산정·발표하고 있으며, 이에 따르면 중산층보다 저소득층의 물가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저소득층의 물가 안정은 경기회복 뿐 아니라 복지사회의 필요조건으로 선진복지국가 일수록 기초생필품 가격이 안정돼 있다”고 강조했다.
/ 오인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