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등포신문=신민수 기자] 올해 2분기 임금근로 일자리가 1년 전보다 약 38만 개 늘어 5분기째 증가 폭이 둔화했다.
청년 일자리는 전 연령대 가운데 홀로 3분기째 감소했다.
2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2분기 임금근로 일자리 동향'에 따르면 2분기(5월 기준) 전체 임금근로 일자리는 2천58만4천 개로 작년 동기보다 37만9천 개 늘었다.
임금근로 일자리 증가 폭은 지난해 1분기 75만2천 개로 정점을 찍고 이듬 분기부터 5분기 연속 둔화하고 있다.
증가 폭이 30만 개대로 내려온 건 2021년 4분기(37만6천 개) 이후 처음이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60대 이상 일자리가 29만 개 증가해 가장 많이 늘었다. 전체 일자리 증가분과 60대 이상 일자리 증가분을 단순 비교하면 10개당 7.6개꼴이다.
50대가 9만7천 개 늘어 뒤를 이었고 30대와 40대도 각각 5만6천 개, 3천 개 증가했다.
반면 20대 이하 일자리는 6만8천 개 줄었다. 지난해 4분기(-3만6천 개), 올해 1분기(-6만1천 개)에 이어 3개분기 연속 감소했다.
같은 기간 다른 연령대는 늘고 있어 청년 일자리만 유일하게 감소세다.
통계청 관계자는 "인구 감소와 20대 이하가 주로 분포하던 아르바이트가 많은 도소매업에서 증가 폭이 주춤한 영향 등이 있다"고 말했다.
20대 이하는 도소매(-2만4천 개), 공공행정(-1만4천 개), 사업·임대(-1만3천 개) 등에서 감소했다.
60대 이상 일자리는 보건·사회복지(7만6천 개), 제조업(4만7천 개), 사업·임대(3만1천 개) 등에서 증가했다.
전체 산업별로도 보건·사회복지에서 10만8천 개 늘어 가장 많이 증가했다. 숙박·음식(5만1천 개), 제조업(4만9천 개) 등에서도 늘었다.
교육(-5천 개)과 부동산(-2천 개) 등에서는 감소했다.
일자리 비중이 가장 큰 제조업은 기타 운송장비에서 1만1천 개 늘었다.
자동차(8천 개), 금속가공(7천 개) 등도 증가했으나 섬유제품(5천 개), 고무·플라스틱(4천 개) 등에서 감소했다.
성별로는 여성 일자리가 23만 개 증가해, 남성(14만9천 개)보다 증가 폭이 컸다.
지난해 같은 분기와 동일한 근로자가 점유한 지속 일자리는 1,443만6천 개로 전체의 70.1%를 차지했다.
퇴직·이직으로 근로자가 대체된 일자리는 356만3천 개로 17.3%였다.
기업체 생성 또는 사업 확장으로 생긴 신규 일자리는 12.6%인 258만6천 개로 집계됐다.
반대로 기업체 소멸 또는 사업 축소로 사라진 소멸 일자리는 220만6천 개다.
일자리는 근로자가 점유한 고용 위치를 의미하며 취업자와는 다른 개념이다. 예컨대 한 사람이 주중에는 회사에 다니며 주말에는 학원 강사를 한 경우 취업자는 1명이나 일자리는 2개다.
사업자등록번호 : 107-81-58030 / 영등포방송 : 등록번호 : 서울아0053 /www.ybstv.net /발행처 : 주식회사 시사연합 / 발행인 겸 대표이사 김용숙
150-804 서울시 영등포구 당산로 139 (당산동3가 387-1) 장한빌딩 4층 / 전화 02)2632-8151∼3 / 팩스 02)2632-7584 / 이메일 ydpnews@naver.com
영등포신문·영등포방송·월간 영등포포커스·(주)시사연합 / 본 사이트에 게재된 모든 기사는 (주)시사연합의 승인 없이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