갭투자 막히자 5대銀 전세대출 5천385억 급감…1년반만에 최대폭↓

2025.11.02 10:26:25

10월 가계대출 2조2천769억↑…주담대 증가폭 1조2천683억, 1년만에 최소
시장금리 상승에 대출금리도 2개월새 0.3%p↑…"연말까지 대출 절벽"

 

[영등포신문=이천용 기자]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규제로 사실상 갭투자(전세를 낀 주택 매입)가 막히자, 전세 물건이 귀해지면서 관련 대출도 급감하고 있다.

아울러 전세자금대출을 포함한 전체 주택담보대출 역시 증가 속도가 1년만에 최저 수준까지 떨어졌다.

여기에 시장금리 상승으로 은행권의 대출 금리까지 오르면서, 당분간 은행 대출 창구가 계속 더 좁아질 것으로 우려된다.

 

5대 은행 가계대출 추이(단위: 억원)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자료 취합
  '25년 6월말 7월말 8월말 9월 25일 10월 30일
가계대출잔액 7,548,348 7,589,734 7,628,985 7,640,949 7,663,718
전월비 증감 67,536 41,386 39,251 11,964 22,769
주담대잔액 5,994,250 6,039,702 6,076,714 6,089,848 6,102,531
전월비 증감 57,634 45,452 37,012 13,134 12,683
신용대출잔액 1,044,021 1,039,687 1,040,790 1,038,079 1,048,598
전월비 증감 10,876 -4,334 1,103 -2,711 10,519
전세대출잔액 1,229,773 1,233,554 1,237,259 1,236,915 1,231,530
전월비 증감 4,736 3,781 3,705 -344 -5,385

 

◇ 10월 가계대출 증가폭, 9월의 두배·6월의 3분의 1…신용대출 1조519억↑

2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전체 가계대출 잔액(766조3천718억원)은 이달 들어 2조2천769억원 불었다.

9월(+1조1천964억원)의 약 2배지만, 앞서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주택구입)이 절정이던 6월(+6조7천536억원)과 비교하면 3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7월(+4조1천386억원)·8월(+3조9천251억원)보다도 적다.

특히 주택담보대출 증가 폭이 1조2천683억원(608조9천848억원→610조2천531억원)에 그쳤다. 급감한 9월(+1조3천134억원)에도 미치지 못했고, 작년 10월(+1조923억원) 이후 가장 적다.

서울 전역과 수도권 주요 지역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하고 15억원이 넘는 집의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2억∼4억원으로 더 줄인 10·15 대책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주택담보대출 가운데 전세자금대출은 아예 5천385억원 뒷걸음쳤다. 9월(-344억원)에 이은 2개월 연속 감소세로, 감소 폭도 1년 반 전인 2024년 4월(-6천257억원) 이래 가장 컸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전세자금대출 급감과 관련해 "6·27, 10·15 등 부동산 대책으로 갭투자가 어려워지자 전세 공급 자체가 줄고 월세 전환이 빨라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주택 관련 대출과 반대로 신용대출 잔액은 한 달 사이 103조8천79억원에서 104조8천598억원으로 1조519억원 불었다. 잇단 규제로 금융소비자들이 주택담보대출을 충분히 받지 못하면서 마이너스통장(신용한도대출)을 포함한 신용대출을 최대한 끌어 쓴 것으로 해석된다.

 

시중은행 대출 금리·채권 금리 추이
※ KB·신한·하나·우리은행, 은행연합회, 금융투자협회 자료 취합
  8월말 10월말 변동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신규 코픽스 기준) 연 3.660∼5.505% 연 3.700∼5.624% +0.110%p, +0.119%p
주택담보대출 혼합형금리(은행채 5년물 기준) 연 3.460∼5.546% 연 3.690∼5.832% +0.230%p, +0.280%p
신용대출 금리(1등급·1년) 연 3.520∼4.990% 연 3.610∼5.100% +0.090%p, +0.110%p
코픽스(신규취급액 기준) 2.510% 2.520% +0.010%p
은행채 5년물(AAA·무보증) 2.836% 3.115% +0.279%p
은행채 1년물(AAA·무보증) 2.509% 2.696% +0.187%p

 

◇ KB, 이번주 주담대 금리 0.13%p 인상…대출한도 더 줄어

이처럼 가뜩이나 은행권에서 대출받기가 어려운 상황에서, 대출 금리까지 최근 전반적으로 오르면서 금융소비자의 부담은 더 커지고 있다.

한국은행과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기준금리 인하 등 통화 완화 정책이 계속 이어질지 의구심이 커지면서, 시장 금리가 최근 높아졌기 때문이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10월 31일 기준 주택담보대출 혼합형(고정) 금리(은행채 5년물 기준)는 연 3.690∼5.832% 수준이다. 두 달 전 8월 말(연 3.460∼5.546%)과 비교해 상단이 0.280%포인트(p), 하단이 0.230%p 높아졌다.

같은 기간 혼합형 금리의 주요 지표인 은행채 5년물 금리가 2.836%에서 3.115%로 0.279%p 올랐기 때문이다.

신용대출 금리(1등급·만기 1년)도 연 3.520∼4.990%에서 3.610∼5.100%로 상단이 0.110%p, 하단이 0.090%p씩 상승했다. 같은 기간 지표 금리인 은행채 1년물 금리가 0.187%p 오른 탓이다.

집값 등 불안에 한은의 이달 기준금리 인하도 불투명한 상황에서, 이런 대출금리 오름세와 가계대출 한도 축소 현상이 상당 기간 이어질 수 있다는 게 은행권의 관측이다.

총부채원리금비율(DSR) 규제에 따라 산출식에 사용되는 금리 수준이 높을수록 원리금 상환 추정액은 커지고 그만큼 최대 대출 가능액은 줄어든다.

KB국민은행은 당장 2일부터 주택담보대출 주기·혼합형 금리에 지표 금리인 5년물 금융채 상승 폭(0.13%p)을 추가로 반영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이 상품들의 금리는 3.88∼5.28%로 오른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은행들이 정부의 부동산·대출 규제 방침에 따라 대출 가산금리 등을 인위적으로 낮추기 어려운 상황에서 시장금리까지 오르면서, 적어도 연말까지는 대출 절벽 현상이 해소되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2015 영등포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사업자등록번호 : 107-81-58030 / 영등포방송 : 등록번호 : 서울아0053 /www.ybstv.net /발행처 : 주식회사 시사연합 / 발행인 겸 대표이사 김용숙
150-804 서울시 영등포구 당산로 139 (당산동3가 387-1) 장한빌딩 4층 / 전화 02)2632-8151∼3 / 팩스 02)2632-7584 / 이메일 ydpnews@naver.com
영등포신문·영등포방송·월간 영등포포커스·(주)시사연합 / 본 사이트에 게재된 모든 기사는 (주)시사연합의 승인 없이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