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등포신문=곽재근 기자] 10월 취업자 수가 19만여 명 증가하며 10만∼20만 명대의 안정적인 흐름을 유지했다.
다만 업종별·연령별로는 뚜렷하게 엇갈린 양상을 보였다. 건설업과 제조업은 여전히 부진했지만, 도소매업과 숙박·음식점업 등은 증가세를 보였다.
청년층 취업자는 16만명 이상 줄고, 고용률도 18개월째 떨어지며 청년 '고용한파'는 지속됐다.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가 12일 발표한 '10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 10월 취업자 수는 2천904만 명으로 1년 전보다 19만3천 명 증가했다. 올해 1∼10월 평균 취업자 수 증가 규모(19만3천 명)와 같은 수준이다.
취업자 수는 올해 들어 지난 5월(24만5천 명)과 9월(31만2천 명)을 제외하고는 매달 10만 명대 증가 폭을 기록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장주성 인력정책과장은 "명절 효과와 내수 회복, 소비쿠폰 등 정책 효과가 맞물리며 취업자 수가 30만 명 이상 늘었던 9월에 비해 증가 폭은 다소 줄었지만, 여전히 10만 명대 후반의 견조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며 "최근 내수 개선 흐름이 내수 연관 서비스업과 제조업 취업자 수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통상 양질의 일자리로 분류되는 건설업·제조업의 고용부진은 지속됐다.
건설업은 12만3천 명 줄며 18개월 연속 감소했다. 감소 폭은 지난달(8만4천 명)보다 확대됐다. 10월 긴 추석명절 연휴와 잦은 비 영향이라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제조업도 5만1천 명 줄며 16개월째 감소세를 이어갔지만, 감소 폭은 작년 10월(3만3천 명) 이후로 가장 작았다. 최근 내수 회복세 및 반도체·선박 등 양호한 수출 실적에 따른 결과라고 정부는 설명했다.
농림어업도 12만4천 명 줄며 감소세를 이어갔다. 고령화·산업구조 변화 등으로 인한 농림어가의 구조적인 감소세에 더해 상반기 작황부진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도소매업 취업자는 4만6천 명 늘며 2017년 11월(4만6천 명) 이후 가장 큰 폭의 증가세를 기록했다.
예술·스포츠·여가 관련 취업자 수도 7만 명 늘면서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지난달(7만5천 명)과 비슷한 수준이다.
숙박·음식점업 취업자 수 역시 2만2천 명 증가하며 두 달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과 공연·전시 할인권 지급 등에 따른 영향으로 보인다.
장 과장은 "10월 초 긴 추석 연휴가 있었음에도 내수 관련 업종에서 지난달의 증가 폭을 넘어서거나 유사한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는 것을 보면 소비쿠폰 등의 정책 효과는 여전하다고 보고 있다"고 전했다.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은 돌봄수요 증가, 노인일자리 등 직접 일자리 사업 효과가 지속되며 28만명 늘었다.
교육 서비스업 취업자 수는 작년 늘봄학교가 크게 증가하면서 그에 따른 교원·교직원 고용이 많아진 기저효과로 증가 폭이 축소된 1만2천명 증가를 기록했다.
연령대로 보면 60세 이상(33만4천 명), 30대(8만 명)를 제외한 나머지 연령대에서 모두 취업자가 줄었다. 특히 청년층(15∼29세)은 16만3천 명 줄며 감소 폭이 가장 컸다. 20대는 15만3천 명 줄었다. 40대와 50대는 각각 3만8천 명, 1만9천 명 감소했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3.4%를 기록했다. 10월 기준 역대 최고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70.1%였다. 역시 10월 기준 가장 높다.
청년층 고용률은 44.6%로 1년 전보다 1.0%포인트(p) 낮아졌다. 18개월째 하락세다.
데이터처 공미숙 사회통계국장은 "경력직 위주 채용, 수시 채용이 청년에게 불리하게 작용하고 있다"며 "청년층이 많이 가는 산업인 제조업이 안 좋은 부분도 영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실업자는 20대와 50대를 중심으로 2만명 줄며 65만8천 명을 기록했다.
실업률은 2.2%로 1년 전보다 0.1%p 하락했다. 청년층 실업률도 5.3%로 0.2%p 하락했다.
10월 비경제활동인구는 1,612만1천 명으로 3만8천 명 증가했다.
구직활동도 일도 하지 않는 '쉬었음' 인구는 258만 명으로 13만5천 명 늘었다.
청년층 쉬었음은 40만9천 명으로 9천 명 줄며 6개월 연속 감소세를 기록했지만, 5개월째 40만 명대를 유지했다.
30대에서는 2만4천명 늘어난 33만4천 명을 기록하며 2003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대치를 기록했다.
공 국장은 "30대의 고용률과 경제활동참가율은 전반적으로 양호한 편이지만, 비경제활동 인구 중 육아·가사 부문이 줄고 '쉬었음'으로 분류되는 인원이 늘어나는 경향이 보인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소비회복 모멘텀이 고용으로 확산할 수 있도록 정책노력을 강화하겠다"며 "기업과 협업해 청년 일 경험 및 현장 중심 직업훈련 등 지원을 강화하는 한편 구직·재직 과정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쉬었음 청년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공미숙 국가데이터처 사회통계국장이 1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2025년 10월 고용동향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사업자등록번호 : 107-81-58030 / 영등포방송 : 등록번호 : 서울아0053 /www.ybstv.net /발행처 : 주식회사 시사연합 / 발행인 겸 대표이사 김용숙
150-804 서울시 영등포구 당산로 139 (당산동3가 387-1) 장한빌딩 4층 / 전화 02)2632-8151∼3 / 팩스 02)2632-7584 / 이메일 ydpnews@naver.com
영등포신문·영등포방송·월간 영등포포커스·(주)시사연합 / 본 사이트에 게재된 모든 기사는 (주)시사연합의 승인 없이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