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5 (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행정

영등포구, 대방천 수문교체로 악취‧침수피해 해결

  • 등록 2019.10.16 11:30:59

 

[영등포신문=변윤수 기자] 영등포구가 하천 범람이 자주 발생하는 대방천의 오래되고 무거운 수문을 최신식 경량형 수문으로 교체해 악취와 침수 피해를 동시에 해결한다.

 

대방천은 하천이 흐르는 위를 콘크리트로 덮은 복개천으로 도림천과 합쳐진 후 안양천으로 유입된다. 평소에는 도로에 가려 밖에서는 볼 수 없는 하천이지만 비가 올 때는 대방천 끝에 위치한 수문을 열고 닫으며 하천의 수위 조절을 담당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대방천 수문은 신도림역 인근 도림천과 대방천의 합류지점에 위치해 밖으로 노출돼 있다. 하천은 수문이 열리면 물길을 따라 도림천으로 방류된다. 이는 비가 오면 대방천 내부 수위가 상승하고 수문 안과 밖의 수위 차이에 의한 수압으로 수문이 자동으로 개방되면서 빗물을 하천으로 방류하는 구조이다.

 

기존에 설치돼 있던 수문은 무게가 1.2톤으로 30~40mm의 강우가 지속돼 대방천과 하수관로가 일정 수위만큼 상승해야 하천 방류를 시작했기 때문에 대방천과 연결된 도림2유수지가 침수되곤 했다. 그렇게 되면 하수관로에 누적되어 있던 진흙까지 밀려들어와 주변 지역에 심한 악취와 침수피해가 발생했다.

 

 

이런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구는 지난 8월부터 이달까지 구비 1억여 원을 투입해 대방천 수문 4개의 교체를 완료했다. 이번에 교체한 수문은 기존 1.2톤에서 1/3 축소한 400kg의 경량화된 수문이다. 또한, 형태도 일체형에서 버티컬(세로) 블라인드 형태로 바꿨다.

 

이로써 10~20mm의 적은 강우량에도 단계별로 수문 개방이 가능하게 됐다. 구는 유연한 수위조절로 대방천과 연결된 도림2유수지의 침수가 1/4가량 대폭 줄어들고, 그로 인한 유수지 청소비용과 악취 발생도 감소하고, 하천 수위도 낮아져 저지대 주택의 침수 위험성도 크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채현일 구청장은 “도로 밑에 흐르고 있는 대방천의 수문 교체는 비록 눈에는 잘 안 띄지만 침수 피해 등 주민 안전과 직결 되는 문제”라며 “안전에는 지나침이 없다는 말을 가슴에 새기고 잘 보이지 않는 문제까지 최선을 다해 대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남부교육지원청, ‘서울정진학교 교통안전 평생교육 캠페인’ 추진

[영등포신문=나재희 기자] 남부교육지원청(교육장 한미라)은 희망계층을 위한 다양한 평생학습 추진 및 연계로 학생의 꿈과 부모의 신뢰로 성장하는 서울교육 실현 위해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 사업의 일환으로 7월 14일 정진학교 학생을 대상으로‘교통안전 캠페인’을 추진한다. 이 사업은 서울정진학교 학생과 교직원이 안전하고 학부모가 안심하고 학교를 보낼 수 있는 안전한 등․하교 길을 제공하고자 신커봉사단 자원봉사자들이 교육 기부 활동으로 직접 만든 안전 우산과 기부금을 모아 구입한 우비, 간식 도시락을 전달하며 서울정진학교 학생들에게 교통안전 평생교육을 제공한다. 또한 이번 캠페인을 시작으로 남부교육지원청은 신커봉사단, 사단법인 따뜻한하루와 협업해 관내 다른 학교에 교통안전 캠페인을 확대‧제공하여 서울학생들이 안전하고, 학부모가 안심하고 학교를 보낼 수 있는 통학 환경을 제공하는 데 기여할 예정이다. 한미라 교육장은 “우리 교육지원청은 이번교통안전 평생교육 캠페인뿐만 아니라 다양한 평생교육 특색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우리 학생과 학부모, 교직원과 지역주민을 포함한 서울시민 모두가 함께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사업을 추진해 갈 예정”이라고 말했




가장많이 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