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등포신문=나재희 기자] 내년은 조선 최초의 오페라 <춘희 La Traviata>가 열린지 70주년을 맞는 뜻깊은 해이다.
앞서 1940년 조선오페라단 <흥부와 놀부>는 연주회 형식의 공연에 불과한 반면, 1934년 성악을 배우러 가서 4년 만에 이탈리아에서 귀국한 테너 이인선이 세운 '국제오페라사'가 당시 시공관으로 불린 서울 명동 국립극장에서 1948년 1월 16일 역사적인 공연을 올린 것이다. 이 때 이인선이 제르몽역을 김자경이 비올렛타역을 맡았다. 김자경은 이후 1950년 카네기홀 독창회를 열고 1952년 미국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단 오디션에 당당히 합격한다.
'한국오페라 70년의 오늘과 내일'이라는 주제로 오는 17일 오후 2시 국회도서관 강당에서 대한민국오페라70주년기념사업회가 주최하고 장정숙 의원실이 주관하는 심포지엄이 열린다.
발제는 전 국립오페라단 단장이며 한양대 명예교수인 박수길이 한국오페라의 오늘과 내일을 조망하며, 음악평론가 탁계석이 국공립오페라단과 민간오페라단의 역할과 지방오페라단 발전 방향에 대해 제시한다. 이어서 연출가이며 한국오페라70주년기념사업회 추진위원장인 장수동이 한국 창작오페라 가능성과 세계화를 논하고 끝으로 한국소극장오페라연합회 이사장 최지형이 한국소극장오페라운동의 현황과 나아갈 길을 말한다.
한국오페라70주년기념사업 추진부위원장이자 국민대교수 김향란과 서울시오페라단 예술감독 이경재, 한국성악가협회 회장, 한양대 교수 이원준이 톨론에 참여한다.
사회는 음악평론가 손수연이 맡는다.
한국오페라70주년기념사업회는 올해 초인 4월 19일 출범해 여러 기념사업을 추진 중에 있으며, 현재는 대한민국오페라단연합회와 공동으로 우리의 오페라 역사를 담은 70주년 기념백서를 제작 중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