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9 (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문화

'본 어게인' 김정난-최광일, 검사 이수혁과 의미심장한 만남

  • 등록 2020.04.24 10:09:53

 

[영등포신문=박민철 기자] ‘본 어게인’에서 김정난과 최광일이 이수혁과 의미심장한 만남을 갖는다.

두 번의 생으로 얽힌 세 남녀의 운명과 부활을 그리는 환생 미스터리 멜로 KBS 2TV 월화드라마 ‘본 어게인’에서 전생과 현생을 잇는 장혜미(위지연/김정난 분)와 천석태(조덕회/최광일 분)의 존재감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것.

극 중 1980년대 장혜미는 최연소 변호사 엘리트이면서 연쇄 살인마 화가 공인우(정인겸 분)을 돕는 모습으로 시청자들의 호기심을 자극했다. 이어 공인우가 부탁한 공지철(장기용 분)을 경찰로부터 도주하게 도와줬을 뿐만 아니라 재판에서 그의 변호까지 맡는 등 긴밀한 인연을 보여줬다. 이와 다르게 1980년대 천석태는 “내가 저 놈 교수대에 매달 테니까”라고 말했을 정도로 공지철을 살인범으로 만들기 위해 혈안이 되어있던 터. 재판에서 역시 장혜미와 치열하게 대립하며 공지철을 살인범으로 몰아넣는 등 냉혈한 검사의 본색을 드러냈다.

공개된 사진 속에는 시간이 흐른 후 환생한 검사 김수혁(이수혁 분)이 장혜미(김정난 분), 그리고 천석태(최광일 분)와 조우한 현장이 담겨 있다. ‘살인범의 비밀’이라는 책으로 베스트셀러 작가가 된 장혜미와 그녀의 책을 들고 담소 중인 김수혁 검사 사이에 무슨 대화가 오고 갔을지 호기심을 증폭시킨다. 그런가 하면 검사 천석태와 김수혁 사이에는 내밀한 기류가 느껴진다. 긴장한 기색이 엿보이는 김수혁의 뒷태에서 비밀스러운 이야기를 나눴음을 짐작케 하고있는 가운데 같은 검찰 안에 근무하는 두 사람의 관계도 주목받고 있다.

특히 장혜미와 천석태는 전생의 공지철(장기용 분), 정하은(진세연 분), 차형빈(이수혁 분)을 기억하는 인물들일 뿐만 아니라 그들이 겪은 과거 사건들과도 긴밀하게 엮여 있는 상황. 이처럼 1980년대와 현재를 관통하는 주요한 연결고리로서 그들이 세 남녀의 현생에는 어떤 역할을 하게 될 것인지 궁금증을 자극한다.

한편, 지난 방송 말미 하얀 설원에서 비극을 맞이한 공지철, 정하은, 차형빈이 환생 후 현재 지하철 플랫폼에서 다시 만나는 장면이 대미를 장식했다. 이에 다시 태어난 세 남녀의 이야기가 본격적으로 펼쳐지면서 그들의 악연은 어떤 서사를 다시 써 내려가게 될지 다음 회에 대한 기대가 달아오르고 있다.

시청자들의 추리 감각을 깨우며 흥미진진함을 더하고 있는 KBS 2TV 월화드라마 ‘본 어게인’은 매주 월, 화요일 밤 10시에 방송된다.

[기고] 무료로 제공하는 종합재무설계로 노후준비를 시작하자

우리나라는 기대수명의 연장과 낮은 출산율로 인해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이 1990년 5.1%에 불과했으나 2024년말 20%를 넘어 초고령사회로 진입하였고, 2060년에는 40.1%로 세계 최고수준에 이를 전망이다. 고령사회는 수명연장이라는 측면에서 축복일 수 있지만, 준비되지 않은 고령사회는 큰 고통이 될 수 있다. 그런 우려로 인해 노후준비에 대한 중요성과 관심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무엇을, 어떻게 해야할지 막막한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국민 개개인이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노후준비를 지원받아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국민연금공단은 2008년부터 국민연금 가입자 등을 대상으로 노후준비서비스를 제공해 왔다. 그러다 2015년 12월 「노후준비 지원법」 시행으로 그 대상을 전 국민으로 확대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공단의 노후준비서비스는 개인이 신체·정신·사회·경제 등 전 영역에서 적절한 노후준비를 할 수 있도록 재무․건강․여가․대인관계 등 분야별로 진단, 상담, 관계기관 연계, 교육 및 사후관리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첫째, 노후준비 4대 영역별로 ‘노후준비 종




가장많이 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