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9 (화)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사회

UW 북소리...김유범 교수, “한글은 약자를 위한 문자”

  • 등록 2015.01.23 10:39:44

117일 토요일 워싱턴대학(UW) 동아시아도서관 고웬홀에서 ‘494년 동안의 고독이라는 주제로 올해 첫 북소리 행사가 열렸다.

한글 역사에 대한 강의에 한인들의 관심이 커 어린아이부터 노인까지 60여명이 참석한 이날 강의에서 UW 방문학자인 고려대학교 김유범 교수(국문학)는 한글에 대한 3가지 오해, 훈민정음 창제의 목적과 동기, 책 훈민정음 등에 대해 상세히 역사를 풀어서 강의하였다.

김 교수는 서울대 김주원교수의 저서 훈민정음, 사진과 기록으로 읽는 한글의 역사를 바탕으로 강의했다.

내용은 한글에 대한 3가지 오해는 첫째, 세종대왕은 우리말이 아니라 우리글 한글을 발명했으며, 둘째, 1997년 유네스코 세계기록문화유산으로 등록된 것은 한글이 아니라 문자 사용법을 기록한 훈민정음이 등록된 것이고, 셋째로 한글은 표음성이 뛰어나지만 모든 소리를 기록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세종대왕이 한글을 만들게 된 동기는 백성을 교화시킬 목적으로 삼강행실인 충신과 효자 열녀에 대한 교화를 한글로 백성들에게 알려주고 싶어서 시작했다고 전했다.

책 훈민정음에 대해서는 해례본과 언해본이 있으나, 현재 남아있는 것은 해례본 훈민정음으로 세종 28년인 1446년 목판본으로 간행되어 해설서를 붙여 반포했다. 이번 강의 제목을 ‘494년 동안의 고독이라 칭한 것은 훈민정음이 1446년 반포된 이후 1940년에야 책을 발견해서 나온 숫자이다.

현재 남아있는 책 해례본 훈민정음1940년 경북 안동에 있는 이한걸 가문이 소장한 것이 발견됐는데, 선조 이천이 여진을 정벌한 공으로 세종이 이 책을 하사했다고 한다.

후에 간송(澗松) 전형필이 이 책을 입수, 소중하게 보관하고 있다. 간송은 6.25전쟁으로 피난가서도 이 책을 오동상자에 넣어 항상 베개 벼고 잤다고 한다. 1962년에 국보 제70호로 책정되어 현재 간송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다.

한글이 왜 과학적인가에 대해 김교수는, 훈민정음은 28(현재는 24) 음성문자의 자음과 모음이 처음부터 구별된 글이다. 알파벳과 달리 한글은 음절이 풀어지지 않고 모아 쓸 수 있어 컴퓨터 사용이 용이하다. 창제 시기와 창제자가 확실하다고 지적한 김 교수는, 세종대왕이 문자를 만들고 집현전 학자들이 해설을 썼다고 설명하고 외국 언어학자의 말을 인용, “사회적 약자를 위한 문자라고 강조했다. /조이시애틀뉴스

'모기 매개 감염' 치쿤구니야열 14개국서 22만 명…국내 유입 1명

[영등포신문=이천용 기자] 바이러스에 감염된 모기를 매개로 감염되는 질환인 치쿤구니야열이 세계적으로 확산하고 있다. 아직 국내 유입 사례는 미미한 정도지만 해외 유행 지역을 방문할 때는 주의해야 한다. 질병관리청은 28일 임승관 청장 주재로 회의를 열고 치쿤구니야열 유행 상황과 대응 체계를 점검했다고 29일 밝혔다. 치쿤구니야열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이집트숲모기 또는 흰줄숲모기에게 물렸을 때 감염되는 제3급 법정 감염병이다. 사람 간에는 전파되지 않는다. 다만 드물게는 감염된 혈액 수혈, 모자간 수직 감염, 실험실 노출 등으로 전파되기도 한다. 보통 1∼12일의 잠복기 후 발열, 관절통, 발진, 근육통 등의 증상을 보인다. 증상이 없는 경우도 있다. 눈, 심장 등과 관련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기저질환이 있는 고령층은 주의가 필요하다. 우리나라에서는 2013년 첫 환자가 확인된 이후 지난 25일까지 12년여간 총 71명이 신고됐는데 모두 해외에서 감염된 후 입국한 사례였다. 이 가운데 올해 들어 신고된 국내 치쿤구니야열 환자는 아직 1명뿐이다. 이집트숲모기는 국내에 서식하지 않고, 흰줄숲모기는 우리나라 전 지역에 서식하고는 있으나 지금까지 바이러스에 감염된




가장많이 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