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0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종합

“이동통신 보조금 규제하려면 요금 대폭 인하해야”

  • 등록 2013.08.02 17:15:26

(사)민생경제정책연구소 8월 2일 논평을 내고, “이동통신 단말기 보조금 규제로 소비자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며 “이동통신 보조금을 규제하려면 요금을 대폭 인하해야 한다”고 밝혔다.

논평은 “정부나 통신사업자는 이동전화요금이 다른 나라보다 싸다고 주장하지만, 최근 OECD보고서를 보면 결코 그렇지 않다”며 “‘2013 커뮤니케이션 아웃룩’에 의하면 한국의 가계통신비는 OECD국가 중 세 번째로 높고, 이동통신비는 가장 높다”고 말했다.

또 “정부는 항상 이동전화요금을 인하한다고 말은 하지만, 국민들의 부담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며 “국민들은 이동전화 관련 정부정책을 신뢰하기가 힘들다”고 꼬집었다.

특히 “방송통신위원회는 이동통신 단말기 보조금에 대해 27만원이라는 상한선을 정해 규제하고 있다”며 “그런데 최근 보도를 보면 보조금 규제 이후 통신사들의 영업이익만 늘어났을 뿐 혜택을 보았다는 소비자 얘기는 없다”고 전한 후, “그렇다면 보조금 규제는 소비자를 위한 정책이 아니라 공급자를 위한 정책이라고 봐야한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프린터제조사는 프린터를 원가보다 싸게 팔아 시장을 확산시켜놓고 비싼 토너로 수익을 내고 있다”며, 이를 “대표적 양면시장”으로 꼽았다. 이어 “이동전화도 마찬가지”라며 “단말기는 원가보다 싸게 팔고, 비싼 요금으로 수익을 내는 구조”라고 분석했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 속에서 보조금을 규제하는 것은 비싼 전화요금은 그대로 놔둔 채 단말기마저 비싸게 팔라는 것밖에 안 된다는 것. 이들은 “만약 프린터제조사가 비싼 토너값은 그대로 두고 프린터마저 비싸게 판다면 분명 시장을 잃어버리게 될 것”이라며, 이동전화 시장도 마찬가지가 될 것임을 경고했다.

계속해서 “단말기 보조금은 요금에 포함되어 최종소비자인 국민이 부담하고 있다”며 “따라서 무턱대고 보조금만 줄여버리면 국민의 부담은 더욱 가중될 수밖에 없다”고 질타했다.

이들은 “단말기 보조금 규제가 소비자를 위한 정책이 되려면 줄어드는 보조금 이상의 이동전화요금 인하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요금인하는 하지 못하면서 통신사 배만 불리는 보조금 규제를 고집하는 것은 가계통신비 경감에 전혀 도움 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이제라도 보조금 규제보다는 이동전화요금 대폭 인하 방안부터 강구하라”고 촉구했다. /김남균 기자

김지연 영등포구의원, “주민 동의 없는 문래동 데이터센터 건립과 문래근린공원 리뉴얼 비판”

[영등포신문=이천용 기자] 영등포구의회 김지연 의원(더불어민주당 도림동·문래동)은 19일 오전 구의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제264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주민 동의 없는 문래동 데이터센터 건립과 문래근린공원 리뉴얼 비판’이라는 주제로 5분 자유발언을 실시했다. 김지연 의원은 “저는 주민 동의 없이 추진되고 있는 문래동 데이터센터 건립과 문래근린공원 리뉴얼 사업을 강력히 비판하고자 이 자리에 섰다. 현재 문래동 일대에서는 연일 서명 운동이 이어지고 있다”며 “생업으로 바쁜 시간을 쪼개며 주민들은 구청의 사업을 막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주민의 대표로서 저는 막중한 책임감을 느끼며 이 자리에서 국민의 목소리를 대변하고자 한다”고 발언을 시작했다. 그는 “올해 9월 문래근린공원 리뉴얼 공사를 위한 펜스가 설치되자 주민들은 공사 중단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구청 주도로 조성된 문래공원 물길 쉼터는 주민 의견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은 채 추진되어 개장 이후에도 수질 관리와 운영 방식에 대한 불만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며 “그럼에도 구청은 이를 교훈 삼지 않고 또다시 주민 의견 수렴 없는 공원 변경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 9월 17일 열린 공사




가장많이 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