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5 (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종합

“이동통신 보조금 규제하려면 요금 대폭 인하해야”

  • 등록 2013.08.02 17:15:26

(사)민생경제정책연구소 8월 2일 논평을 내고, “이동통신 단말기 보조금 규제로 소비자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며 “이동통신 보조금을 규제하려면 요금을 대폭 인하해야 한다”고 밝혔다.

논평은 “정부나 통신사업자는 이동전화요금이 다른 나라보다 싸다고 주장하지만, 최근 OECD보고서를 보면 결코 그렇지 않다”며 “‘2013 커뮤니케이션 아웃룩’에 의하면 한국의 가계통신비는 OECD국가 중 세 번째로 높고, 이동통신비는 가장 높다”고 말했다.

또 “정부는 항상 이동전화요금을 인하한다고 말은 하지만, 국민들의 부담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며 “국민들은 이동전화 관련 정부정책을 신뢰하기가 힘들다”고 꼬집었다.

특히 “방송통신위원회는 이동통신 단말기 보조금에 대해 27만원이라는 상한선을 정해 규제하고 있다”며 “그런데 최근 보도를 보면 보조금 규제 이후 통신사들의 영업이익만 늘어났을 뿐 혜택을 보았다는 소비자 얘기는 없다”고 전한 후, “그렇다면 보조금 규제는 소비자를 위한 정책이 아니라 공급자를 위한 정책이라고 봐야한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프린터제조사는 프린터를 원가보다 싸게 팔아 시장을 확산시켜놓고 비싼 토너로 수익을 내고 있다”며, 이를 “대표적 양면시장”으로 꼽았다. 이어 “이동전화도 마찬가지”라며 “단말기는 원가보다 싸게 팔고, 비싼 요금으로 수익을 내는 구조”라고 분석했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 속에서 보조금을 규제하는 것은 비싼 전화요금은 그대로 놔둔 채 단말기마저 비싸게 팔라는 것밖에 안 된다는 것. 이들은 “만약 프린터제조사가 비싼 토너값은 그대로 두고 프린터마저 비싸게 판다면 분명 시장을 잃어버리게 될 것”이라며, 이동전화 시장도 마찬가지가 될 것임을 경고했다.

계속해서 “단말기 보조금은 요금에 포함되어 최종소비자인 국민이 부담하고 있다”며 “따라서 무턱대고 보조금만 줄여버리면 국민의 부담은 더욱 가중될 수밖에 없다”고 질타했다.

이들은 “단말기 보조금 규제가 소비자를 위한 정책이 되려면 줄어드는 보조금 이상의 이동전화요금 인하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요금인하는 하지 못하면서 통신사 배만 불리는 보조금 규제를 고집하는 것은 가계통신비 경감에 전혀 도움 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이제라도 보조금 규제보다는 이동전화요금 대폭 인하 방안부터 강구하라”고 촉구했다. /김남균 기자

[기고] 광복 80주년, 그날의 빛을 오늘로 이어가며

8월의 햇빛이 유난히도 뜨겁다. 무더운 여름 바람이 스치지만, 광복절을 앞둔 이 시기에는 우리의 마음만큼은 더욱 단단해져야 한다. 이 더위 속에서도 우리에게 주어진 자유와 평화가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 그 의미를 되새기게 된다. 올해 대한민국은 광복 80주년을 맞이한다. 1945년, 일제로부터 나라를 되찾은 이 날은 단순한 역사적 사건이 아니라 수많은 이들의 고통과 희생, 뜨거운 염원이 만들어 낸 결실이었다. 광복은 조국의 독립을 위해 목숨을 바친 수많은 독립운동가들의 신념과 실천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고, 이름 없이 싸우다 쓰러진 무명의 이들까지 모두가 그날의 주인공이었다. 그러나 광복 8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우리가 기억하지 못한 이름들이 남아 있다. 역사의 공백 속에 가려진 독립유공자들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은 우리에게 아직 끝나지 않은 숙제를 남기고 있다. 국가보훈부는 국내외 사료 조사, 공적 자료 발굴 등을 통해 독립운동을 하셨음에도 아직 알려지지 못한 분들을 찾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발굴된 독립유공자에 대해서는 3·1절, 광복절, 순국선열의 날 등을 계기로 포상 심사를 거쳐 독립유공자 포상을 추진하고 있으며, 미전수된 훈장을




가장많이 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