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9 (금)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사회

영등포구, 2019년 살림은 주민 아이디어로

  • 등록 2018.07.04 09:09:42


[영등포신문=신예은 기자] 영등포구(구청장 채현일)는 오는 4일부터 13일까지 2019년도 예산편성을 위한 주민참여예산 사업을 공모한다고 밝혔다.

주민참여예산은 주민이 지역에 필요한 사업을 제안하고 심사, 선정까지 전 과정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제도로 재정 민주주의 실현에 기여한다.

구는 재정운영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2011년 '주민참여예산제 운영 조례'를 제정하고 주민 의견을 적극 반영하고 있다.

 

올해 주민참여예산 규모는 지난해 8억 원에서 25% 증가한 10억 원으로 구는 동별 지역현안 사업과 주민이 직접 제안하는 사업으로 구분해 추진한다.

 

특히, 이번에는 주민 제안사업의 한도액을 사업당 5천만 원에서 1억 원으로 상향 조정해 보다 지역 파급효과가 크고 실효성 있는 사업을 제안할 수 있도록 했다.

공모 분야는 주민 편익증진이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주민밀착형 사업이다. 여러 해에 걸쳐 진행되는 계속사업이 아닌 단년도 사업에 한하며 특정인‧특정단체의 이익을 위한 사업 등은 제외된다.

 

참여를 원하는 영등포구민은 주민제안사업 신청서를 작성해 방문(당산로 123, 영등포구청 재정관리과)하거나 우편 또는 이메일(dreameryhs@ydp.go.kr)로 제출하면 된다. 신청서는 구청 홈페이지(www.ydp.go.kr) ‘주민참여방’이나 동 주민센터에서 받을 수 있다.

제안된 의견은 사업의 타당성 등 소관 부서의 사전 검토를 거친 후, 주민이 직접 참여하는 모바일 투표와 주민참여예산위원회 심사를 통해 2019년 주민참여예산 사업으로 최종 선정된다.

 

지난해 구는 주민 참여를 통해 ▲신길3동 브랜드거리 조성 ▲성(공)취(업) 스쿨을 만들자 ▲발달장애인의 홀로서기를 돕는 재활 공간 만들기 등 총 16개 사업을 선정, 총 6억 7700만 원의 예산을 투입해 주민생활 개선에 힘썼다.

 

 

채현일 영등포구청장은 “지자체 주도의 예산편성 방식에서 벗어나 주민 참여를 확대함으로써 주민 욕구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지역 특성을 살린 다양한 사업들을 발굴‧추진할 수 있게 됐다”며, “영등포구 발전을 위한 특색 있는 아이디어를 적극 제안해 주길 바란다”고 전했다.

서울여의도로타리클럽, 취약계층 어르신 보양식 전달

[영등포신문=변윤수 기자] 지난 8월 27일 서울여의도로타리클럽(회장 최길호)은 영등포구사회복지협의회(회장 박영준)를 방문해 취약계층 어르신 보양식 전달 행사를 진행했다. 이번 후원품은 어르신의 건강한 여름나기를 위해 서울여의도로타리클럽 예비회원 더바른푸드 심종훈 대표의 후원으로 삼계탕 밀키트 200개(360만 원 상당), 흑염소 진액을 폭염으로 힘들어하시는 취약계층 어르신을 대상으로 지원했다. 이날 삼계탕 나눔 행사에 참석한 선보 최길호, 지심 이지형, 호천 강성욱, 청암 김세환, 대청 이철주, 심종훈 등 회원들은 푸드뱅크마켓 이용자에게 직접 삼계탕 밀키트를 전달했다. 서울여의도로타리클럽은 영등포 지역사회의 문화 활성화와 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봉사활동을 꾸준히 이어오고 있어 2024년에는 영등포구청 명예의전당에 등재했다. 앞으로도 국제로타리의 일원으로 꾸준한 지원과 봉사활동을 지속해나갈 예정이다. 선보 최길호 회장은 “여름의 폭염 속에 힘들어하실 어르신들게 작게나마 보양식 대접을 하게 되어 기쁘다”며 “삼계탕 밀키트를 준비하여 주신 심종훈 회원님과 봉사활동으로 참석해주신 회원분들 그리고 박영준 회장님 이하 관계자분들께 감사드리며, 앞으로도 관내 복지향상을




가장많이 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