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1.21 (화)

  • 맑음동두천 14.1℃
  • 맑음강릉 21.0℃
  • 맑음서울 13.9℃
  • 맑음대전 15.1℃
  • 맑음대구 15.6℃
  • 맑음울산 19.2℃
  • 맑음광주 15.4℃
  • 맑음부산 16.3℃
  • 맑음고창 16.1℃
  • 구름많음제주 16.5℃
  • 맑음강화 11.8℃
  • 맑음보은 14.5℃
  • 맑음금산 15.5℃
  • 맑음강진군 16.8℃
  • 맑음경주시 18.9℃
  • 맑음거제 16.0℃
기상청 제공

정치

김영주 국회부의장, “서민 이자부담, 상환문제 심각, 정부 대안 마련해야”

최근3년간, 주택구입자 10명중 3명이 MZ세대

  • 등록 2022.07.25 08:11:13

 

[영등포신문=이천용 기자] 김영주 국회부의장(더불어민주당, 영등포갑)이 국토교통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9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3년동안 주택을 구입한 사람 10명 중 3명이 1980년대초~2000년대초 출생한 MZ세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3년 주택을 구입한 사람은 총250만여 명, 이중 MZ세대는 72만2천여 명으로 전체 구입자의 28.89%에 해당한다.

 

MZ세대 주택구입은 2019년 19만여 명(27.24%), 2020년은 29만여 명(29.36%), 2021년에는 23만여 명(30.1%)으로 매년 MZ세대 주택구입자 비중이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MZ세대 주택구입 비중이 가장 높은 지역은 서울지역으로, 최근 3년 서울지역 전체 주택구입자 34만4천여 명 중 11만5천여 명(33.38%)이 MZ세대였다. 그다음으로는 울산(33.27%), 경기(31.12%), 세종(29.82%), 광주(29.07%) 순으로 MZ세대들의 주택구입 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에서‘자이언트스텝’을 실시하면서, 이번달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도 기준금리를 0.5%나 인상시키는 ‘빅스텝’을 단행했다.

 

이에 시중은행들의 주택담보대출과 신용대출 금리가 급격하게 올라가면서, 서민들의 대출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주택담보대출 신규취급액 기준 1금융권 평균금리는 2019년 2.74%, 20년 2.5%, 21년 2.94%, 22년 5월에는 3.9%로 2019년 비해 1.24%나 상승했다.

 

김영주 국회부의장은 “지난 3년간 집을 산 사람 10명 중 3명이 MZ세대라는 통계는 충격적이다. 최근 몇 년간 집을 사지 않으면 안 될 것 같은 사회적 분위기가 형성되면서, 청년들이 무리하게 대출까지 받아 주택을 구입했다”며 “연말까지 1금융권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9%까지 오를 수도 있다고 예상하는 보고서도 나오고 있는 상황에서, 상환능력이 부족한 이른바 영끌족들은 한순간에 하우스푸어로 전락할 상황에 처해 있다”고 했다.

 

끝으로 김 부의장은 “정부 정책만 믿고 주택을 구입한 서민들을 위해서라도 정부는 LTV와 DSR 한도를 모두 소진하면서까지 무리하게 주택을 구입한 초고위험군들에 대한 대출잔액과 금리 실태조사에 나서야 한다”며 “특히 집을 사기위해 3개 이상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은 다중채무자에 대한 위험성도 미리 살펴 볼 필요가 있다. 앞으로 국회에서 서민들의 이자 및 원리금 부담을 덜어드릴 수 있는 방안을 다방면으로 모색하겠다”고 했다.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2023년 서울형 심리부검 정책 세미나 성료

[영등포신문=신민수 기자] 서울시자살예방센터(센터장 김현수)는 11월 20일 오후 서울시자살예방센터에서 ‘2023년 서울형 심리부검 심리부검 정책 세미나’가 유족 및 정신건강에 관심 있는 실무자와 시민 등 총 150여명 참여한 가운데 온라인과 현장에서 진행됐다고 밝혔다. 심리부검은 자살유족과 전문가 면담을 통해 고인의 사망에 영향을 끼쳤을 다양한 요인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고인의 삶을 통합적으로 살펴보는 과정이다. 유족이 고인의 삶을 정리할 기회를 마련하면서, 자살사망자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자살예방정책 수립에도 이바지할 수 있다. 서울형 심리부검은 서울의 특수성·시의성·실효성을 고려한 근거 기반의 자살예방정책 및 전략을 위해 2020년 서울형 심리부검을 개발하고 2개년(2021년~2022년) 96건의 심리부검 면담을 통해 서울형 자살유형 분류 및 자살위험 요인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를 통해 자살사망자 하위유형별 위기관리 개입과 서울형 자살위험 요인 조망을 통한 근거 기반 개입 전략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했다. 이번 심리부검에서 서울의 자살자 하위 유형은 크게 △정신건강 및 학교 스트레스 잔존형 자살자(48%) △직장 및 경제 위기 자살자(34%) △복합형




가장많이 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