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1.01 (수)

  • 흐림동두천 19.5℃
  • 구름조금강릉 22.8℃
  • 흐림서울 20.5℃
  • 구름많음대전 24.0℃
  • 맑음대구 23.7℃
  • 맑음울산 24.9℃
  • 맑음광주 24.5℃
  • 맑음부산 21.3℃
  • 맑음고창 23.0℃
  • 맑음제주 28.2℃
  • 구름많음강화 19.8℃
  • 구름많음보은 22.8℃
  • 구름조금금산 23.5℃
  • 맑음강진군 24.3℃
  • 맑음경주시 26.4℃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사회

가격 뛴 추석 '금사과'…"냉해에 탄저병까지, 이런 가을은 처음"

  • 등록 2023.09.28 10:13:48

 

[영등포신문=이천용 기자] "사과가 금이 됐다는 뉴스를 볼 때마다 속이 터집니다. 수확할 사과가 없어서 농민 대부분은 쥘 수 있는 돈이 없습니다. 17년째 과수원을 하는 데 이런 가을은 처음입니다."

사과 주산지인 전북 장수군 장수읍에서 만난 박덕열(57)씨가 갈색 반점으로 얼룩덜룩한 사과를 솎아내며 이렇게 말했다.

박씨의 말처럼 올해 사과 가격이 폭등하면서 이른바 '금사과'가 됐다.

서울농수산식품공사에 따르면 전날(27일) 경매된 홍로 상품 10㎏의 평균 가격은 8만2천927원으로 작년 3만1천614원에 비해 2.6 배가량 뛰었다. 특품은 12만523원까지 올랐다.

 

사과 가격이 비싸져 소비자들 부담은 커졌더라도 농민들은 이득을 볼 것 같지만 실상은 다르다. 수확량이 적고 품질이 낮아져 내다 팔 사과가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그는 "보통 해마다 홍로 1천500상자 정도 수확했는데 올해는 1천 상자를 채 못 채웠다. 다음 달에 따는 부사도 수확량이 절반 정도로 줄 것 같다"며 "사과 50개면 한 상자가 가득 찼는데 올해는 사과 크기도 작아서 70개는 넣어야 했다"며 한숨 쉬었다.

생산량이 크게 줄어든 건 냉해와 긴 장마 등 이상 기후로 분석된다. 지난 4월에도 기온이 영하로 내려가면서 박 씨의 과수원은 냉해 피해가 났다.

4월은 분홍색을 띤 사과 꽃잎이 자라며 풍선 모양으로 부푸는 시기인데, 서리를 맞아 암술과 수술이 얼어 쪼그라드니 제대로 된 사과가 달릴 리 없었다.

박씨는 "사과꽃이 만개할 시기에 서리가 내렸다. 원래 장수읍은 냉해 피해가 크지 않는데 올해는 유독 심했다"며 "그때부터 어차피 수정하지 못할 테니 농사를 포기한 농가들이 있었다"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탄저병도 창궐했다. 탄저병은 열매에 크고 작은 흑갈색 반점이 생기면서 과일이 썩는 병이다. 주로 5월부터 포자를 만들었다가 비가 오면 빗물을 타고 확산한다.

박씨는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탄저병이 심하고 빠르게 번지는데 올해 유달리 길고 강한 장맛비가 이어지면서 사과들이 다 썩었다"며 "부사는 홍로보다 탄저병에 강한 품종인데, 부사마저 탄저병이 퍼지고 있다"고 말했다.

박씨는 주변 농가들도 모두 비슷한 상황이라고 했다. 특히 탄저병이 과수원 전체로 번지면서 전혀 수확하지 못한 농가도 있다고 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역시 개화기의 서리·우박 피해와 긴 장마, 탄저병 등으로 올해 사과 생산량을 지난해 대비 21% 감소한 44만9천t으로 전망했다.

그는 "이미 봄에 농약을 치고 사과꽃을 따면서 인건비나 농약값이 나갔는데, 수확을 못 하면 농가들은 빚을 고스란히 안게 되는 것"이라며 "영주 등 경북 지역도 돌아봤는데 그쪽도 피해가 비슷했다. 장수만의 문제가 아니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그러면서 "탄저균은 영하 40도에도 쉽게 죽질 않기 때문에 제대로 방제하지 않으면 피해가 커질 수 있다"며 "이상기후는 점점 더 심해질 텐데 올해는 그럭저럭 버텼다고 해도 내년이 또 걱정"이라고 덧붙였다.

장수군 관계자는 "한 해에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재해가 지역 사과 농가들을 덮쳤다"며 "이 때문에 사과값이 올라 적은 수확량에도 평년과 비슷한 수익을 가져간 농민들도 있겠지만 그렇지 못한 분들도 많다. 재해 피해 농가를 정확히 파악한 뒤 지원책 등을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공무원연금공단, 믿음직한 연금복지전문기관 향한 중장기 경영전략 수립

[영등포신문=신민수 기자] 공무원연금공단(이사장 김동극)은 10월 31일 경영환경 변화와 이사장의 경영철학을 담아 2024~2028년 중장기 경영전략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지난 8월 18일 취임한 김동극 이사장은 임직원들에게 전문역량 강화를 통한 업무혁신, 청렴의식책임행정을 통한 고객신뢰 제고, 이해관계자와 진정성 있는 소통과 상생의 가치를 강조하고, 저출산고령화 등 최근 사회적으로 관심이 높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공단의 적극적인 역할을 주문했다. 이는 정부의 공공기관 혁신, 지역사회 상생발전, 인구구조 변화 대응 등 정부의 정책방향과도 일치한다. 공단은 이러한 이사장의 의지를 담아 임직원 워크숍과 자문가 자문, 전・현직 공무원 의견수렴 등 대내외 이해관계자가 참여하는 방식으로 미션과 비전, 전략목표 등을 새롭게 확정했다. 공단은 미션을 ‘안정적인 연금복지서비스로 전・현직 공무원의 복지향상과 지속가능한 사회발전에 기여한다’로 개선해 공공기관으로서 지속가능한 사회발전에 기여하는 주도적 역할을 강조했다. 비전은 ‘공무원의 평생행복을 만들어가는 믿음직한 연금복지전문기관’으로 새롭게 선정했다. ‘평생행복을 만들어가는’을 통해 전・현직 공무원의 복지서비스 확장이




가장많이 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