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0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사회

전 김일성 주치의 김소연 박사 “비만의 원인은 장내 세균”

  • 등록 2015.03.24 11:15:19

[영등포신문=김경진 기자=김남균 기자] 북한 김일성 주치의 출신의 귀순자 김소연 박사가 323일 영등포구 당산동 소재 그랜드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서울시CEO아카데미(원장 나재희) 3월 강연에서 만병의 근원인 비만퇴치법이란 주제로 강연을 펼쳤다.

김일성 만수무강 장수연구소책임연구원이었던 그는 김일성을 120세까지 살게 하라는 소위 주체의학에 입각한 임무를 완수하기 위해 갖가지 일을 수행했던 일화부터 소개했다. 여기에 따르면, 당시 김 박사 등은 장수하는 노인과 함께 몇 달을 지내며 그의 생활방식을 데이터로 정리해 당국에 보고하는 등 김일성의 무병장수를 위해 온갖 일을 다했다.

탈북의사들의 증언으로 이미 잘 알려진 김일성의 젊은 피 수혈뒤에 감춰진 잔인한 인간사육에 대해서도 이야기했다. 김일성에게 피를 제공하기 위해 뽑힌 젊은이들을 몸을 바쳐 당과 수령에게 충성한다는 명목 하에 가축처럼 사육시켰다는 것.

그러면서 자신도 인간사육을 당했음을 고백했다. 예방백신인줄 알고 매년 맞아왔던 주사가 알고 보니 여성호르몬 분비를 억제시키는 중성화 주사였다는 것이다. 사실상 거세를 당한 것으로 일에만 몰두시키기 위한 당국의 조치였다. 생리가 멈추는 등 몸이 이상해짐을 느끼면서 그는 결국 사실을 알게 되었고, 배신감 때문에 일을 건성으로 하기 시작하자 반혁명분자로 찍혀 고문을 받는 등 수난을 겪게 되었다. 그리고 이는 그의 귀순 배경이 되었다.

그는 수많은 노력에 비해 김일성은 오래 살지 못했다중요한 것은 마음’”이라고 했다. 김일성은 탐욕 때문에 늘 마음이 편할 수가 없었으며, 여기에 동구권이 몰락하면서 불안감이 증폭되었기 때문에 백약이 무효였다는 것이다.

이같이 전한 김 박사는 현대인들의 최대 관심사 중 하나인 비만에 관해 본격적인 강의에 들어갔다. 그가 진단한 비만의 가장 중요한 원인은 바로 장내 세균’. 똑같은 음식을 섭취해도 장내 세균의 분포가 어떻느냐에 따라 비만 여부가 결정된다는 것이다.

여기에 따르면, 장내 세균에는 세 종류가 있다. 인체에 유익한 유인균’, 해로운 유해균’, 그리고 중간균이 그것인데, 캐스팅보드는 중간균이 쥐고 있다. 이들 균은 강한 쪽으로 합류하는 기회주의자들이다. 즉 유인균이 더 많으면 유인균으로 변하고, 유해균이 많으면 유해균으로 변한다. 그리고 유해균이 더 많은 상황이 될 때 비만이 발생한다. 따라서 발효식품을 섭취하는 등 유인균이 강해지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김 박사는 이와함께 흔히 을 뺀다고 하는데, ‘을 빼면 절대 안되고 지방을 빼야 한다, 근육과 지방을 혼돈하지 말 것을 당부했다.
한편 현재 경기대 대체의학대학원 대우교수로 활동중인 김소연 박사는 TV조선 살림9단의 만물상을 비롯해 MBN, 채널A 등 다수의 방송에 고정 패널로 출연하고 있다. 특히 그가 소장으로 있는 보궁 자연요법 건강장수연구소에서는 최근 유인균 12을 개발했다. /김남균 기자

서울시, 청년안심주택 임차인 보호 대책 추진

[영등포신문=변윤수 기자] 최근 보증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일부 '청년안심주택'에서 보증금 미반환 문제가 불거지자 서울시가 대책을 내놓았다. 선순위 임차인에게 서울시가 보증금을 우선 지급하고, 9월 말까지 보증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신규 청년안심주택은 임대사업자 등록말소를 추진한다. 아울러 보증보험 가입이 불가한 부실 사업자를 사전에 걸러낼 수 있도록 관련 법 개정도 건의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20일 이런 내용의 청년안심주택 임차인 보호 대책을 발표했다. 서울시가 만 19∼39세 청년의 주거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2016년 도입한 청년안심주택(구 역세권 청년주택)은 현재까지 총 2만6천호 공급돼 높은 만족도(2024년 기준 91.5%) 속에서 운영되고 있다. 그런데 최근 임대보증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일부 청년안심주택에서 건물이 강제경매에 넘어가거나 가압류돼 세입자들이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할 상황에 처하는 등 문제가 불거지면서 제도적 미비점에 대한 지적이 잇따랐다. 시에 따르면 보증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청년안심주택 사업장은 총 8곳이다. 이 가운데 가압류, 경매 개시 등으로 보증금 미반환이 우려되는 청년안심주택 사업장은 총 4곳(잠실동·사당동·구의동·쌍문동)의 2




가장많이 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