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등포신문=최형주 기자] 서울시가 전체가구의 약 30%를 차지하고 있음에도 다양한 문화, 여가 정책에서 소외돼왔던 1인 가구가 즐기고 모이고 커뮤니티를 구성할 수 있도록 맞춤형 프로그램 지원을 시작한다. 그동안 청년임대주택, 여성안심택배 등 1인 가구 개별 대책은 있었지만 이들이 서로 관계망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은 이번이 처음이다.
시는 우선 1인 가구가 모여 요리하고 목공예 수업도 받으며 커뮤니티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특별 전용공간을 4개 자치구에 총 5곳을 새롭게 마련하고, 구청 주도로 5개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기존 동주민센터나 종합사회복지관, 청년 커뮤니티 공간을 리모델링해 조리실, 문화예술동아리 등을 만든다.
사회복지시설 등 민간에서 운영하는 1인 가구 활동 프로그램도 첫 지원한다. 집밥 만들기, 재테크 교육, 미팅, 심리상담, 운동, 연극 등 1인 가구의 관심도가 높은 분야의 7개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특히 작년 여성가족재단이 실시한 1인 가구 실태조사에 따라 1인 가구 중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청년과 중장년층 등을 대상으로 정책지원을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서울시는 이와 같은 내용의 ‘세대별 1인 가구 사회적 관계망 지원 사업’을 새롭게 추진, 구청과 민간 주도로 총 12가지 프로그램을 시범 운영한다고 밝혔다. 연간 총 715명이 이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시행 내용은 첫째, 4개 자치구에 있는 기존 건물 5곳의 리모델링을 지원한다. 그 공간을 기반으로 한 프로그램 5개는 성북구, 강북구, 은평구, 금천구 등 각 구청이 운영하며 문의는 각 구청으로 전화하면 된다.
둘째, 서울시는 비영리민간단체(기관 등)가 운영하는 1인 가구 활동 프로그램 7개도 지원하며, 관악구.동대문구.서대문구.은평구에 위치한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와 성북구 성북평화의집, 번동3단지종합사회복지관, (사)밸류가든 등에서 각각 운영하며 자세한 사항은 각 기관으로 전화 문의하면 된다.
이은영 서울시 가족담당관은 “서울시는 1인 가구를 보편적인 가족 유형으로 인식하고 앞으로 세대별 1인 가구의 특성을 반영한 다양한 정책지원을 통해 사회적 가족도시를 구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