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5 (토)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사회

'서울 법인 창업 및 일자리 동향', 2018년 법인창업 32,602개

  • 등록 2019.01.23 11:17:11

[영등포신문=신예은 기자] 서울연구원이 2018년의 법인 창업 특징과 12월의 동향을 담은 '서울 법인 창업 및 일자리 동향' 연간호 및 12월호를 발표했다.

  

2018년 서울에서 창업된 법인 수는 총 32,602개로 서울 법인창업지수는 4.3% 상승해 전년 대비 양호한 증가세를 보였다.

 

산업별로는 도소매업 7,087개, 비즈니스서비스업 4,228개, IT융합 4,016개, 금융업 3,549개, 콘텐츠 1,611개, 바이오메디컬․녹색․디자인 및 패션 1,213개, 도심제조업 842개, 관광․MICE 761개, 숙박 및 음식점업 552개, 그 외 기타산업 8,743개가 창업됐다.


바이오메디컬․녹색․디자인 및 패션(23.5%) 산업이 전년 동월에 비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고 IT융합(14.2%), 콘텐츠(8.0%), 도소매업(5.8%), 비즈니스서비스업(5.0%), 관광․MICE(4.0%)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권역별로는 동남권이 13,305개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은 서남권 9,351개, 동북권 3,728개, 도심권 3,579개, 서북권 2,639개 순으로 창업됐다. 

 

모든 권역에서 창업이 증가한 가운데 도심권(8.3%)이 전년 대비 가장 크게 증가했고 서북권(7.8%)도 호조를 나타냈다. 그 외 서남권(4.7%)과 동북권(3.9%), 동남권(2.6%)도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2018년 12월 서울에서 창업된 법인 수는 2,627개로 서울 법인창업지수는 5.6% 상승했다.

 

산업별로는 도소매업 533개, 비즈니스서비스업 331개, 금융업 308개, IT융합 286개, 콘텐츠 135개, 바이오메디컬․녹색․디자인 및 패션 104개, 도심제조업 83개, 관광․MICE 64개, 숙박 및 음식점업 38개, 그 외 기타산업 745개가 창업됐다.

 

바이오메디컬․녹색․디자인 및 패션(44.4%) 산업이 전년 동월에 비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고 관광․MICE(18.5%), 그 외 기타산업(13.1%), IT융합(11.7%), 콘텐츠(5.5%), 도심제조업(3.8%), 도소매업(2.3%), 금융업(1.7%)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숙박 및 음식점업(-19.1%), 비즈니스서비스업(-7.0%)은 감소했다.

 

 

권역별로는 서북권이 전년 동월에 비해 가장 큰 증가를 보였고 도심권, 서남권, 동북권도 증가했으나 동남권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권역별 법인 창업은 동남권이 1,023개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은 서남권 781개, 동북권 303개, 도심권 297개, 서북권 223개 순으로 조사됐다.

 

서울 법인 창업에서 창업 건수가 가장 작은 서북권(28.9%)이 전년 동월과 비교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고 도심권(14.2%)도 큰 증가세를 보였다. 그 외 서남권(9.7%)과 동북권(6.7%)의 창업도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동남권(-2.3%)은 서울에서 유일하게 감소했다.

 

2018년 12월 법인 창업에 따른 일자리는 총 12,222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0.5% 소폭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전체 일자리 12,222명 중 산업별 일자리 수는 도소매업(2,488명)이 가장 많았고 금융업(1,813명), 숙박 및 음식점업(1,268명), 비즈니스서비스업(1,125명)이 뒤를 이었다.

 

산업별 일자리는 바이오메디컬․녹색․디자인 및 패션(74%)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고 그 외 기타산업(13%), 콘텐츠(3%), 관광․MICE(2%), 금융업(1%) 등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권역별 일자리 수는 동남권(4,384명)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서남권(2,875명), 도심권(2,270명), 동북권(1,432명), 서북권(1,261명) 순으로 추정된다.

 

권역별 일자리는 서북권(15%)과 도심권(15%)이 가장 크게 증가했고 서남권(11%)의 일자리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동북권(-19%)과 동남권(-7%)의 일자리는 줄어든 것으로 추정된다.

동북아역사재단, 독도체험관 재개관식 개최

[영등포신문=이천용 기자] 독도체험관이 리뉴얼을 마치고 한층 업그레이된 새로운 모습으로 시민들을 맞이하게 됐다. 동북아역사재단(이사장 박지향)은 10월 24일 오후 3시 영등포 타임스퀘어 지하 2층에 자리한 독도체험관 내 교육실에서 재개관식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최교진 교육부 장관, 최호권 영등포구청장, 오세정 서울대 전 총장, 박경서 대한민국 초대 인권대사, 정진성 서울대 명예교수, 당산중학교와 유한공업고등학교 교사 및 학생 등 약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김종근 관장의 사회로 국민의례, 경과보고, 환영사 및 축사, 재개관 퍼포먼스, 테이프 커팅, 전시 소개 및 라운딩 순으로 진행됐다. 국회 교육위원회 김영호 위원장과 채현일·김용태·강경숙 의원도 국정감사 일정으로 인해 직접 참석하지는 못했으나 영상 축하 메시지를 통해 재개관을 축하했다. 박지향 이사장은 인사말을 통해 “일본의 독도 침탈 시도의 파도가 높아지는 가운데 1900년 대한제국 칙령 제41호 반포 125주년을 기념하는 독도의 날에 앞서서 독도체험관을 재개관하게 된 것을 진심으로 기쁘게 생각한다”며 “지난 7월부터 4개월간의 준비를 통해 새롭게 단장한 독도체험관은 국토가 명백히 대한민국의 고

서울시, 핼러윈 앞두고 특별 안전대책

[영등포신문=신민수 기자] 핼러윈데이(10월 31일)를 일주일 앞두고 인파밀집 사고를 예방하고자 행정안전부가 인파위기경보 ‘주의’ 단계를 발령하기로 한 가운데, 서울시는 이번 주부터 홍대․이태원․성수 등 14개 주요 인파 밀집 예상 지역을 대상으로 ‘특별 안전관리대책’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시는 10월 24일부터 11월 2일까지 ‘핼러윈 중점 안전관리 기간’으로 정하고 행정안전부·자치구·경찰·소방 등 유관기관과 사전 점검부터 현장 순찰, 실시간 모니터링, 인파 분산까지 전 단계에 걸쳐 빈틈없는 대응체계를 가동한다. 위험 요소는 사전 점검을 통해 선제적으로 제거하고, 관계기관의 상황전파 및 정보공유 체계를 강화해 비상대응체계를 유지한다. 특히 지역별 여건과 특성을 반영한 예측·예방 중심의 맞춤형 안전관리로 안전사고를 사전에 차단하고 시민 안전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인파밀집 예상지역은 14곳(10개 자치구)으로 이태원 관광특구, 홍대 관광특구, 성수동 카페거리, 건대 맛의 거리, 강남역, 압구정 로데오거리, 명동거리, 익선동, 왕십리역, 신촌 연세로, 발산역, 신림역, 샤로수길, 논현역을 포함한다. 시는 해당 지역을 대상으로 사전 현장점검를 실시하고, 안전관리




가장많이 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