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7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사회

영등포구, 청소년 목소리 대변할 영등포청소년자치연합 ‘유자청’ 4기 모집

  • 등록 2019.03.21 09:39:03


[영등포신문=이정환 기자] 영등포구(구청장 채현일)가 지역 내 청소년들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영등포청소년자치연합 ‘유․자․청’ 활동에 참여할 청소년을 모집한다.

 

별나고 유로운 영등포소년자치연합’이라는 의미를 지닌 ‘유청’은 2016년 혁신교육지구 사업으로 처음 시작되었으며, 영등포 청소년을 대표하여 청소년이 살고 싶은 영등포를 만들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위안부 문제 알리기’ 플래시몹 제작 및 공연 △청소년 인권 바로 알기 캠페인(인권교육 및 독서토론) △지역 내 청소년 교류 활성화를 위한 ‘명랑운동회’, ‘청소년 자치한마당’ 등 다양한 청소년 자치 활동을 유청 프로젝트를 통해 진행했다.

 

또 지난해에는 구에서 추진하는 교육정책에 대한 청소년의 목소리를 담기 위해 ‘청소년 타운홀미팅’을 열고 ‘청소년에게 필요한 공간과 활성화 방안’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공유하고 수렴한 바 있다.

 

 

올해 구는 프로젝트 추진과 함께 지역 내 청소년들의 목소리를 구에 전달하는 통로로서 청소년들의 역할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대상자 또한 지난해 영등포구 소재 중․고등학교 재학생에서 영등포구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만 13~19세 청소년까지 모두 참여 가능하도록 확대했다.

 

2019년 청소년 자치활동을 이끌어 갈 4기 유․자․청은 △사전 오리엔테이션 △유자청 캠프 △유자청 프로젝트 등의 과정을 거쳐 마을 공동체 속에서 스스로 각종 사업들을 기획하고 실행하는 등 전 과정을 주도적으로 참여하게 된다.

 

활동에 참여를 희망하는 청소년은 3월 20일부터 4월 5일까지 인터넷으로 신청하면 된다.

 (http://naver.me/G6Kb1NgY)


 

채현일 구청장은 “이 영등포 교육의 주인이자 미래인 청소년들의 시각에서 다양한 교육정책을 제안하고 실행하는 소통의 통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청소년이 행복한 영등포를 만들기 위해 청소년들의 다양한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서울시, ‘2025년 가을편 서울 꿈새김판’ 게시 문안 공모

[영등포신문=곽재근 기자] 서울시가 ‘가을의 여유와 풍요로움’을 주제로 한 ‘2025년 가을편 서울 꿈새김판 문안 공모’를 8월 27일부터 9월 5일까지 10일간 진행한다. 서울시 누리집(www.seoul.go.kr)을 통한 온라인 신청과 우편 신청으로 참여할 수 있다. ‘서울꿈새김판’은 각박한 일상 속 시민에게 위로와 희망의 메시지를 전하고 시민의 삶 속에서 공감하는 메시지를 나누기 위해 지난 2013년 6월, 서울도서관 정면 외벽에 설치한 대형 글판이다. 서울꿈새김판 공모는 거주지역과 나이에 상관없이 서울을 사랑하는 사람이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한글 30글자 이내의 창작 문안을 1인당 3개 작품까지 응모할 수 있다. 각각의 작품은 개별 접수해야 한다. 출품작은 내외부 위원으로 구성된 ‘문안선정위원회’에서 심사를 거쳐 최종 5개의 작품이 선정되며, 각 수상자에게는 각 40만 원의 상금이 개별 지급된다. 서울시는 수상작을 디자인하여 가을편 꿈새김판에 게시하고, 시민과 함께 소통하며 따뜻한 감동을 선사할 예정이다. 강선미 서울시 홍보담당관은 “시민들이 꿈새김판을 통해 긴 무더위에 지친 마음을 위로받고 가을의 여유와 포근함을 느꼈으면 좋겠다”며 “시민들의

[기고] 너무 평범해서 무서운 이야기

“그냥 문자 하나 눌렀을 뿐인데, 계좌에서 돈이 빠져나갔어요.” "다급한 목소리가 우리 아이 목소리랑 똑같았어요." “비밀번호가 똑같았는데, 메일도 SNS도 다 털렸어요.” "QR코드를 찍었는데 악성 앱이 자동으로 설치되고, 제 지인들에게 이상한 문자가 발송되었어요." 이런 이야기, 더 이상 남의 일이 아닙니다. 스마트폰 하나로 은행, 쇼핑, 병원, 가족과의 연락까지 모든 걸 처리하는 세상에서, 단 하나의 행동이 우리의 일상 전체를 무너뜨릴 수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보안을 ‘대기업 해킹’이나 ‘영화 속 이야기’로만 생각합니다. 그러나 현실은 다릅니다. 생일과 같은 쉬운 비밀번호를 사용하는 사람, 카페 와이파이에 무심코 접속하는 사람, 급한 마음에 공항에서 공용 충전선을 이용하는 사람, ‘택배 배송/모바일청첩장/범칙금 등’ 사칭 문자의 송신자를 확인하지 않고 파란 글자(링크)부터 빠르게 누르는 사람, 카드 배송지가 잘못 입력되었다고 다시 전화해달라는 대로 전화하는 사람, QR코드 위에 추가 스티커가 덧붙여져 있는지 확인하지 않고 공용자전거를 이용하는 사람. 이와 같이 해커들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평범한 사람들을 노립니다. 하지만 보안을 너무 어




가장많이 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