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7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회

영등포구, 지역 내 만 18세~39세 청년 대상 청년건축학교 모집

  • 등록 2019.06.12 10:34:32

 

[영등포신문=이천용 기자] 영등포구가 지역 내 청년들에게 전문 기술을 교육하고 취․창업률을 제고하기 위해 오는 27일까지 청년건축학교 수강생을 모집한다.

 

구는 지난해 서울시 자치구 최초로 청년건축학교를 설립해 청년들에게 비전을 제시하고 전문 청년건설기능인을 양성하며 일자리를 창출 및 연계하고 있다.

 

청년건축학교는 상․하반기로 운영돼 지난해 총 29명이 교육을 이수했으며, 그중 41%인 12명이 관련 업계에 취업했다.

 

이번에 모집하는 청년건축학교는 내달 1일부터 11월 1일까지 청년건축학교(문래동 트리플렉스 B110호)에서 진행하며, △도배‧장판 △타일‧미장 과정을 운영한다. 수강생들은 평일 오후 1시부터 5시까지 총 400시간의 교육 시간을 거치며 건축 전문가로 거듭난다.

 

 

도배․장판 반은 시공 이론, 도면 읽는 법, 도배지 재단, 초배․정배부터 마무리까지 전 과정을 두루 섭렵한다. 타일․미장 반은 기초 이론, 타일 붙임 실습, 욕실 시공 및 미장 실습 등을 통해 실전에 임할 수 있는 실력을 쌓게 된다.

 

또한 교육을 통해 이론과 실습뿐 아니라 관련 기능사 자격증 취득, 취업 면접 실습, 관련 기초 법률 등을 폭넓게 배울 수 있다.

 

특히 80% 이상을 출석한 경우 수료증을 발급하고 식비, 교통비 등 소정의 교육비를 사후 일괄 지급한다. 수료 후에는 일자리를 연계하며 수강생들의 사후 관리를 꼼꼼히 챙긴다.

 

청년건축학교는 도배‧장판, 타일‧미장 과정별 10명씩 모집한다. 수강료는 전액 무료이며, 건축에 관심 있는 지역 내 만 18세 이상 39세 이하 청년이면 누구나 수강할 수 있다. 신청은 청년건축학교 홈페이지(www.seoulydp2018.or.kr)에서 신청서를 다운받아 이메일로(seoulydp2018@naver.com)로 제출하면 된다.

 

더 자세한 사항은 일자리경제과(02-2670-4104) 또는 청년건축학교(02-2631-1539)로 문의할 수 있다.

 

 

채현일 구청장은 “청년건축학교를 통해 전문 기술을 지닌 청년건설기능인으로 거듭나 꿈을 펼치길 바란다”며 “영등포구도 청년 취․창업률 제고 및 역량 강화를 위해 다양한 정책 및 지원사업을 추진하겠다”고 전했다.

 

‘2025 영등포구 지역치안협의회’ 개최

[영등포신문=이천용 기자] 최근 마약, 경제범죄, 청소년 비행, 미성년자 납치 미수 등 사회적 이슈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영등포구 유관기관들이 모여 지역 치안에 대해 논의하는 의미 있는 자리가 마련됐다. ‘2025 영등포구 지역치안협의회’가 17일 오후 서울영등포경찰서 본관 2층 대회의실에서 개최됐다. 지역치안협의회는 법 질서 확립과 사회안전망 구축을 위해 주민 생활 안정 및 지역치안 안건 등에 대해 유관기관의 상호협력을 논의하는 자리이다. 회의는 위원장인 최호권 구청장을 비롯해 정선희 구의회 의장, 지지환 영등포경찰서장 등 관내 각 유관기관 기관장 및 실무자들이 함께한 가운데, 위촉장 수여, 참석위원 소개 및 인사말, 주요 협업사례 소개, 협의 안건 논의 순으로 진행됐다. 이날 최호권 구청장은 신임 위원인 김인탁 KT구로법인 지사장에게 위촉장을 수여하고, 지역치안을 위해 힘써줄 것을 당부했다. 이어 위원들은 ▲청소년 보호를 위한 비행 범죄 예방 캠페인 ▲어린이보호구역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환경 개선 사업 등 주요협업사례에 대해 보고 받은 뒤, 지난 8월 27일 실무협의회에서 다룬 안건 12건 중 ▲자율방범대 활성화를 위한 협조 ▲112순찰 전차 전용 주




가장많이 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