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4 (일)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문화

사람의 모습을

  • 등록 2019.10.07 02:30:02


[영등포신문=박민철 기자] 2일 방송된 MBC 수목드라마 '어쩌다 발견한 하루'(극본 송하영·연출 남궁성우)에서는 자신이 여자주인공이 아닌 보통 캐릭터라는 걸 깨닫게 된 은단오(김혜윤)의 모습이 그려졌다.


이들의 사고에 다른 학생들은 웅성거리며 두 사람의 모습을 촬영하기에 바빴다.


그때 은단오가 나서서 여주달을 일으켜줬다.


그때 화면이 바뀌고 은단오는 중간고사를 보는 교실에 있었다.


 

갑작스럽게 장소가 바뀌고, 그 곳에서 시험을 봐야 한다는 사실에 은단오는 당황했다.


“꿈인가”라며 볼을 꼬집었지만, 그때 또 시간이 흘렀다.


자신이 미쳤나 생각했던 은단오는 병원으로 향했고, 의사에게 고민을 털어놨다.


의사도 은단오의 고민에 “만화를 덜 보면 된다”고 말했다.


김혜윤은 드라마 ‘어쩌다 발견한 하루’에서 자신이 만화 속 캐릭터 인 것을 알게 된 후, 작가가 정해준 운명을 거스르고 사랑을 이뤄내려고 하는 당찬 여고생 ‘단오’를 맡아 한층 성장한 연기력를 뽐낼 것으로 보인다.


 

걸맞게 오남주가 등장했다.


오남주가 도와준 건 은단오가 아니라 여주다였다.


은단오는 자신의 기억을 되돌아봤고, 그동안 오남주가 자신에게 한 행동이 모두 여주다에게 향했다는 걸 깨달았다.


다시 진미채 요정과 마주한 은단오. 그에게 진미채 요정은 “여기는 만화 속 세상이다”고 말했다.


은단오는 진미채 요정의 말을 믿지 못했고, 믿을 수 없었다.


그런 은단오에게 진미채는 “우리는 인간이 아니다. 장면과 장면 사이 공백을 느끼는 거다. 평소라면 못 느꼈겠지만 자아를 갖게 되면 공백을 알게 된다. 기억이 사라졌다고 착각한다”고 설명했다.


은단오는 “그럼 내가 만화 캐릭터인 주제에 자아를 갖게 돼서 공백을 느낀다는 거냐”고 놀랐다.



아동 돌봄 이용 부모 64% "야간 긴급상황서 아이 맡길 수 있어야"

[영등포신문=나재희 기자] 지역아동센터 등 마을돌봄시설을 이용하는 부모 3명 중 2명은 야간에 긴급상황 발생 시 아이를 맡길 수 있는 공적 돌봄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24일 이러한 내용의 '초등 방과 후 마을돌봄시설 오후 8시 이후 연장돌봄 이용 수요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부산 아파트에서 발생한 화재로 부모 없이 집에 있던 아동이 사망한 사건과 관련, 야간 시간대 아동 돌봄의 사각지대를 메우기 위한 대책의 일환으로 마련됐다. 연장돌봄 정책을 수립하기 전 사전 수요를 파악하기 위해서다. 조사는 지난달 21일부터 31일까지 전국의 지역아동센터, 다함께돌봄센터를 이용 중인 부모 2만5천182명을 대상으로 연장 돌봄에 관한 수요 등을 온라인 설문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통상 방과 후 마을돌봄시설은 오후 1시부터 오후 8시까지 운영된다. 그 결과 성인의 보호 없이 미성년 아이들끼리 지내는 돌봄 공백은 오후 4∼7시에 쏠린 후 오후 8시부터는 급격히 낮아졌다. 다만 응답자의 64.4%(1만6천214명)는 야간에 발생하는 긴급상황에 대비해 아동을 맡길 수 있는 공적 서비스 체계가 필요하다고 했다. 현재는 긴

'서울형 시간제 어린이집' 전 자치구로 확대...1시간 보육도 가능

[영등포신문=변윤수 기자] 필요할 때 누구나 시간 단위로 미취학 자녀를 맡길 수 있는 '서울형 시간제전문 어린이집'이 25개 전 자치구로 확대된다. 서울시는 기존 18개 자치구에 더해 나머지 7개 자치구에서도 9월부터 서울형 시간제전문 어린이집을 운영한다고 24일 밝혔다. 신규 운영하는 7개소는 ▲ 종로구 초동어린이집 ▲ 성동구 구립왕십리하나어린이집 ▲ 동대문구 메꽃어린이집 ▲ 중랑구 구립 드림어린이집 ▲ 마포구 삼성아이마루어린이집 ▲ 영등포구 아토어린이집 ▲ 서초구 구립 서초성모어린이집이다. 서울형 시간제전문 어린이집은 기존 어린이집의 유휴 공간을 활용, 취학 전 보육 연령대(6개월∼7세) 아이라면 필요할 때 누구나 시간 단위로(월 60시간 한도) 이용할 수 있는 시간제 보육서비스다. 양육자의 일정에 맞춰 유연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또 육아 피로도를 덜어주거나 긴급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양육자의 일상을 돕는 틈새 보육기관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서울형 시간제전문 어린이집에선 올해 1∼7월에만 2천875건, 1만2천419시간의 보육서비스를 제공했다. 시범운영 기간이던 지난해 6∼12월 이용실적(2천79건·7천821시간)과 비교하면 이용 건수(




가장많이 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