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4 (화)

  • 맑음동두천 12.5℃
  • 맑음강릉 13.2℃
  • 맑음서울 13.4℃
  • 맑음대전 14.0℃
  • 구름조금대구 15.1℃
  • 구름많음울산 14.4℃
  • 맑음광주 12.9℃
  • 구름조금부산 17.3℃
  • 맑음고창 13.0℃
  • 구름많음제주 15.2℃
  • 맑음강화 11.3℃
  • 맑음보은 13.1℃
  • 맑음금산 13.7℃
  • 맑음강진군 14.8℃
  • 구름많음경주시 14.7℃
  • 구름많음거제 14.6℃
기상청 제공

행정

영등포구, 청년 취‧창업 위한 1:1 온라인멘토링 서비스 오픈

  • 등록 2020.06.09 09:30:51

 

[영등포신문=변윤수 기자] 영등포구가 청년들의 취‧창업 지원을 위해 영등포 ‘청년온라인플랫폼’을 통한 1:1 온라인멘토링 서비스를 오픈한다.

 

구 전체 인구의 1/3이 넘는 청년층을 위해, 구는 지난 2019년 12월 구의 대표적 청년정책 종합정보알림서비스 창구인 ‘청년온라인플랫폼’을 만들어 첫 선을 보인 바 있다.

 

온-오프라인 경계 없는 청년 소통 커뮤니티를 지향하는 청년온라인플랫폼이 이번에 오픈하는 서비스, ‘1:1 온라인멘토링’은 청년온라인플랫폼의 핵심 기능이기도 하다.

 

1:1 온라인멘토링에는 지난 해 8월 발대식을 가진 ‘영-커넥터스’ 청년 멘토단 80인이 멘토로 참여한다. 청년들이 특히 관심을 갖는 △NCS․P-ssat △금융․마케팅 △취업 △창업의 4대 핵심 분야를 필두로 취‧창업 16개 분야에서 이들 멘토의 생생한 조언을 들을 수 있다.

 

 

1:1 온라인멘토링 이용 방법은 먼저 ‘청년온라인플랫폼’ 웹사이트(https://www.ydp.go.kr/youth/index.do?) 회원가입을 하고 원하는 분야의 멘토를 선택해 신청하면 온라인 채팅으로 멘토링을 진행할 수 있다.

 

향후 코로나19 대응책으로 최근 활발히 활용되고 있는 ‘Zoom Cloud Meetings’ 프로그램을 활용한 화상 멘토링 서비스 또한 지원할 예정이다.

 

이밖에도 청년온라인플랫폼에는 오프라인 모임을 온라인으로 확장해 시간‧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소통을 지향하는 ‘청년 소모임’, 청년들이 직접 겪은 정책 후기를 공유하는 ‘정책 리뷰’, 취‧창업 교육과 취업정보를 비롯해 구에서 마련한 청년 정책과 사업을 종합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청년 소식’ 등 청년을 위한 다양한 콘텐츠가 마련돼 있다.

 

1:1 온라인멘토링 관련 자세한 사항은 구청 사회적경제과(02-2670-1664) 또는 ㈜중소기업지원센터(02-338-6892)로 문의하면 된다.

 

채현일 구청장은 “1:1 온라인멘토링 서비스가 청년의 취‧창업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지속적인 멘토 발굴에 힘쓸 생각”이라며 “청년온라인플랫폼이 청년들의 대표적 소통채널이 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신길종합사회복지관, ‘팝업복지관’ 부스 운영 통해 지역주민과 소통

[영등포신문=변윤수 기자] 사회복지법인 대한조계종 봉은(대표이사 원명스님)이 운영하는 신길종합사회복지관(관장 유지연)은 지난 10월 24일 2025 어린이집 한마당 축제에서 '팝업복지관-나만의 바람개비 만들기' 체험부스를 운영했다. 신길종합사회복지관의 대표 사업 중 하나인 '팝업복지관'은 지역주민을 직접 찾아가 기관을 소개하고 의견을 청취하며 지역주민과 소통하고 다양한 복지 욕구를 파악해 주민 의견을 반영한 맞춤형 사업을 기획하고 있다. 이번 활동은 2025 어린이집 한마당 축제에 참가한 어린이 및 가족 약 2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복지관 프로그램 홍보와 안내, 바람개비 만들기 체험 등 다양한 활동이 함께 이루어졌다. 행사에 참여한 가정은 "복지관에서 진행하고 있는 다양한 아동 프로그램을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되어 좋았다."며 "복지관이 취약계층만 이용하는 곳이라고 생각했는데 이번 기회를 통해 다양한 아동 프로그램을 이용해보고 싶어졌다"고 전했다. 유지연 관장은 "이번 행사를 계기로 아이들과 가족들에게 조금 더 친밀하게 다가갈 수 있었던 것 같다"며 "앞으로도 지역주민과 소통의 기회를 넓혀가는 기관이 되겠다"고 전했다. 신길종합사회복지관은 이번 행사를




가장많이 본기사

더보기